본문 바로가기

조순12

<조씨고아(趙氏孤兒)>이야기에 대한 고증과 역사복원 글: 사량소(史良昭) 는 경극(京劇)에서는 라고 부른다(고아를 찾아서 고아를 구한다는 의미임). 이 명칭은 일목요연하다. 왜냐하면 이야기의 주인공은 강보에 쌓인 사내아이가 아니라, 조씨와 아무런 현련관계도 없지만, 전력을 다해서 '고아를 구해준' 정영(程嬰)과 공손저구(公孫杵臼)이기 때문이다. 두 사람은 자신의 인생신조를 지키기 위하여, 한 사람은 사생취의(捨生取義, 목숨을 버려 올바른 일을 행하다)하고 한명은 인욕부중(忍辱負重, 치욕을 참고 견디다)했다. 어려운 줄 알면서도 기꺼이 나아갔고, 의로운 일을 하기 위해 용감히 나섰으며, 죽음을 전혀 겁내지 않았고, 고난이 닥쳐도 포기하지 않았다. 인간의 본성중에서 집착 이외의 모든 약점을 버렸다고 할 수 있다. 현대인들은 그들의 행위에 대하여 결론을 내렸다.. 2023. 5. 14.
<죽서기년(竹書紀年)> vs <사기(史記)> : 어느 기록이 더 믿을만할까? 글: 독서문사(讀書文史) 중국역사상 이런 기서(奇書)가 있다. 그것은 사람들이 역사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고정관념을 완전히 깨버렸고, 그리하여 봉건정통완조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리하여 오랜 시간이 흐른 지금의 우리는 많은 사람들이 그 존재조차 모르고 있다. 그것은 도대체 어떤 책인가? 이 책을 얘기하자면, 먼저 전설적인 사건부터 시작해야 한다. 1. 의 출토: 도굴꾼과 관련이 있다. 태강2년(281년) 하내군(河內郡) 급현(汲縣, 지금의 하남성 위휘시)에서 중국역사상 중요한 영향이 있는 사건이 발생한다. 부준(不準)이라는 도굴꾼이 교외지역의 한 고묘를 도굴했다. 아마도 그는 묘를 파헤친 후 새카만 묘실에서 가지고 온 횃불이 금방 다 타버렸을 것이다. 그런데 당시 묘실에는 대량의 죽간(竹簡)이 쌓여 .. 2022. 5. 1.
삼국소인물 (10): 문빙(文聘), 가장 저평가된 삼국명장 글: 역사대폭작료(歷史大爆炸了) 형주는 명장과 명상들을 많이 배출했다. 제갈량부터 방통까지, 이들 형주의 명사들은 전체 삼국시대의 진전에 영향을 미친다. 이들을 제외하고도, 여러번 조위(曹魏)를 위기에서 구해준 형주명장이 있다. 그가 바로 문빙이다. 문빙은 형주 사람이다. 그가.. 2019. 1. 18.
조조의 특수부대 "호표기(虎豹騎)"는 얼마나 강했는가? 글: 사소우(史小雨) "특수부대"를 얘기하자면, 사람들의 잠재의식 속에는 왕왕 서방국가가 '발명창조'한 것이라는 생각이 있다. 그러나,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중국에는 일찌기 2000년전에 '특수부대'가 있었다. 삼국시대, 위,촉,오는 모두 자신의 특수부대를 보유하고 있었는데, 조위의.. 2016. 2. 13.
"조씨고아(趙氏孤兒)" 고변(考辯) 글: 조영우(趙寧宇) &lt;사기&gt;권43 &lt;조세가(趙世家)&gt;(이하 &lt;조세가&gt;라 약칭함)의 기록에 따르면, 조씨의 선조는 진경공(晋景公) 3년(기원전597년) 일찌기 족주(族誅, 일족이 주살당하다)의 화를 당한다. 조삭(趙朔)의 유복자 조무(趙武)는 공손저구(公孫杵臼)와 정영(程&#23344;)의 비호.. 2015. 2. 23.
진령공(晋靈公) 시해(弑害): 모두 개때문에 일어난 일인가? 글: 포강객(浦江客) 명왕조의 개국공신 유기(劉基, 劉伯溫)은 우언소품집 &lt;욱리자(郁離子)&gt;를 저술했는데, 글이 날카로웠다. 유머가 넘치는 가운데 폐해를 정곡으로 찌르고 있다. 견식과 공력이 대단하다는 것을 엿볼 수 있다. 역사학자들은 이 책을 "길흉화복에 밝고, 고금의 성패득.. 2013. 11.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