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구32

송휘종: 금나라에 포로로 잡힌 이후에도 6남 8녀를 낳다. 글: 승모헌(升玥軒) 송휘종 조길(趙佶)은 일생동안 두 가지가 많았다: 하나는 재주가 많았고, 다른 하나는 자녀가 많았다. 예술분야에서, 음시작부(吟詩作賦)이건, 전사작곡(塡詞作曲)이근 아니면 필묵단청(筆墨丹靑, 서예와 회화)이건, 국장경기(鞠場競技, 축국)이건 송휘종은 모두 일.. 2012. 8. 15.
중국의 태상황(太上皇) - 송,명,청 글: 소가노대(蘇家老大) 중국역사상 당왕조의 태상황과 수량이 같은 것은 송왕조이다. 그러나 당나라의 태상황은 대부분 부득이한 상황하에서 나타난 것과는 달리, 송나라의 태상황은 기본적으로, "강적이 국경으로 압박해 들어오자 황위를 다른 사람에게 넘겨버린 경우와 정무에 염증.. 2012. 3. 14.
맹황후(孟皇后): 정강지난을 피한 전설적인 황후 글: 유병광(劉秉光) 정강2년(1127년) 봄, 금나라의 철기가 변경을 짓밟고, 북송이 멸망한다. 4월, 중원한족 역사상 가장 굴욕적인 장면이 펼쳐진다. 금나라인들은 황제(송휘종, 송흠종) 및 황후, 황태자를 데리고 북으로 갔다. 북송에서 가치있는 물건과 사람은 모조리 데리고 가서, 개방의 창고는 텅텅 비.. 2010. 5. 28.
어떻게 진회(秦檜)의 오명을 벗길 것인가? 글: 정계진(丁啓陣) 사학계 혹은 비사학계에서 적지 않은 사람들이 이런 생각을 지니고 있다: 악비를 죽인 것은 실제로 송고종 조구의 뜻이고, 진회는 그저 이 최고의사결정권자의 결정을 집행하였을 뿐이다. 그리하여 천고의 악명을 얻은 진회가 실은 억울한 점이 있고, 속죄양의 측면이 있다. 이 견.. 2008. 11. 23.
"막수유(莫須有)"에 대한 새로운 해석 글: 정계진(丁啓陣) 진회(秦檜)가 말한 "막수유" 세 글자의 의미는 도대체 무엇인가? 자고이래로 이에 대한 논쟁은 끊이지를 않았다. 어느 한 해석도 모든 사람들이 받아들이는 정설로 굳어지지 못했다. 이에 필자는 새로운 해석을 내놓고자 한다. 탈탈(脫脫)이 쓴 <<송사. 악비전>>에는 아래와 .. 2008. 1. 21.
진회(秦檜)는 사실 대충신이다. 작자: 미상 진회(1090-1155)의 자(字)는 회지(會之)이고, 강녕(지금의 강소성 남경시) 사람이며, 진사출신이다. 북송때 밀주교수, 감찰어사, 어사중승을 지냈고, 남송때 이부상서, 참지정사, 재상을 지냈으며, 태사(太師), 위국공(魏國公)에 봉해졌다. 죽은 후에는 송고종(宋高宗)이 그를 "신왕(申王)"에 봉하.. 2007. 1.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