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태12

이치(李治)는 황태자(皇太子) 자리를 그저 주워먹었는가? 글: 역사변연(歷史邊緣) 당태종 정권17년(643년)의 사월, 흘간승기(紇干承基)가 당태종 이세민에게 고발한다. 태자 이승건(李承乾)이 모반을 꾀한다고, 당태종 이세민은 대신을 소집하여, 조사한 후, 흘간승기의 말이 사실이라는 것을 발견하고, 태자 이승건을 폐출시키고, 그를 서인으로 .. 2018. 7. 28.
이세민의 현무문사변후 이건성의 팔대간장(八大干將)은 어떻게 되었는가? 글: 지역사(知歷史) 이건성은 대당의 황태자로서, 그의 적계역량과 인맥자원은 엄청나게 대단했다. 문신,무장이 부지기수였고, 원래 이세민을 수습하는 것은 전혀 문제가 없었는데, 아쉽게도 한번 실수하여 모조리 잃게 되었다. 그렇다면 그를 따르던 심복들의 최후는 어떠했을까? 그 중.. 2018. 1. 14.
당태종의 태자 이승건(李承乾)은 왜 반란을 일으켰는가. 글: 정호청천(鼎湖聽泉) 당태종 이세민의 적장자로서 8살때 태자가 된 이승건은 당연히 역사의 행운아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왜 나중에 서둘러 부친에게 반기를 들었다가 죽게 되었을까? 얘기하자면 길다. 이승건은 어렸을 때 매우 총명하고 철도 들고 결단력도 있었다. 진중하다고 할 .. 2017. 12. 29.
진멸초(秦滅楚): 망진필초(亡秦必楚), 도대체 진과 초는 얼마나 큰 원수를 졌을까? 글: 왕욱기(王昱祺) 왕전이 조나라를 멸망시키고, 왕분이 연나라 위나라를 멸망시켰다. 여기에 이전에 태수등에 의하여 멸망한 한나라까지 합쳐서 현재 동방의 육국은 이제 겨우 초(楚)와 제(齊) 두 강국만 남았다. 종합국력으로 보면, 초, 제 양국은 모두 약하지 않아다. 초나라는 몇번 도.. 2016. 5. 28.
[황자쟁위술] 이세탈인술(以勢奪人術) 천사재화패(天賜才華牌) 이세민편등 사서는 이세민이 형인 태자 이건성보다 훨씬 총명했다고 기록한다. 비록 이것이 사실에 완전히 부합하는지 여부는 알 수가 없지만, 사서나 야사에서 이 기조에 따른 여러가지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그런 이야기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는 다음에 소개하는 한가지 사례로 알 수 있다. .. 2015. 10. 11.
[황자쟁위술] 무장탈위술(武裝奪位術) 내선득위패(內禪得位牌) 이세민편외 요순우의 선양이후, 역사는 가천하(家天下)의 시대로 접어든다. 그 이후, 한(漢), 위(魏), 진(晋), 남조의 송(宋), 제(齊), 양(梁), 진(陳) 그리고 북조의 주(周), 수(隋), 당(唐)에 이르기까지 모두 선양의 방식으로 왕조가 교체된다. 선양이 이렇게 매번 활용된 원인은 바로 구황제와 신황제의 .. 2015. 10.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