웅재대략10 대당왕조 관료사회 몰락의 역사적 교훈 글: 소가노대(蕭家老大) 정관(貞觀)연간에 웅재대략(雄才大略)의 당태종 이세민은 방현령(房玄齡), 두여회(杜如晦), 위징(魏徵)등 명신의 보좌를 받아 정간(精幹), 염결(廉潔), 고효(高效)의 정부시스템을 만들었다. 정간초기의 기구 간소화를 통하여, 경관(京官)은 원래의 2천여명에서 643명.. 2014. 1. 15. 보과과는 왜 청말난세에 태어나고 싶어했을까? 글: 풍청양(風靑揚) 언젠가 인터뷰에서 보과과는 매체에서 "당신이 가장 살고싶지 않은 왕조는 언제인가?"라는 물음에, 이렇게 대답한 적이 있다: "가장 살고 싶지 않은 것은 왕조이전의 그 시대이다. 실제로 많은 왕조에 나는 모두 가보고 싶다. 특히 청말. 비록 국가는 혼란스러웠지만, .. 2013. 11. 10. 동오(東吳)는 왜 멸망했는가? 글: 이치아(李治亞) 동오는 왜 멸망했을까? 조위(曹魏)와 비교하면 사마의 부자와 같은 권신도 없었고, 유선(劉禪)과 같이 평용한 군주도 없었는데....그러나, 이것은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르는 것이다. 조위나 촉한과 비교하면 강동의 오나라는 망국의 이유가 더욱 있었다. 첫째, 손권은 만.. 2013. 6. 26. 중국인들은 왜 수양제(隋煬帝)를 미워하는가? 글: 장굉걸(張宏杰) 중국역사는 '전형적인 인물'로 구성되었다. 사관(史官)들은 선험적으로 강청 동지의 지시를 관찰해서, '중간인물'은 쓰지 않았다. 그저 '신(神)'으로 만들거나, '귀(鬼)'로 만든다. '신' 시리즈에는 문무주소(文武周召, 주문왕, 주무왕, 주공, 주소왕), 공맹정주(孔孟程朱, .. 2012. 9. 19.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