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고타이8

몽골과 티벳불교의 만남: "3차회맹(三次會盟)" 글: 진호무(陳浩武) 오늘 저녁 자리해 주신 학자분들과 여러분들. 저는 경제학을 전공했고, 역사를 전공하지 않았습니다. 역사는 그저 취미로 배우고 있습니다. 그래도 독서의 경험을 나누어 보고자 합니다. 오전에 우리는 둬룬(多倫)을 갔었는데, 너무 놀랐습니다. 이곳이 이렇게 중요한 .. 2019. 2. 8.
야율초재(耶律楚材): 징기스칸은 왜 그를 중용했는가. 글: 황수(黃帥) 1211년, 징기스칸의 철기(鐵騎)가 야호령(野狐嶺)에서 금나라군대와 격전을 벌일 때, 야율초재(耶律楚材)는 겨우 21살이었다. 그는 가슴에 큰 뜻을 품고 금나라 황제와 함께 곧 중원으로 쳐들어올 몽골인을 격퇴하려고 준비했다. 그러나, 역사의 저울은 이때 이미 몽골인에게 기울어 있었다. 수십년간의 향락과 소비로 완안아골타(完顔阿骨打)의 자손들이 지탱해온 국가는 사상유례없는 위험에 처하게 된다. 야호령 전투에서 금나라군대는 정예병을 모조리 잃는다. 심지어 황제 금선종(金宣宗)마저 남으로 도망쳐 변경(지금의 개봉)으로 간다. 일시에 금나라가 망할 것이라는 공포분위기가 중원의 대지를 감싸게 된다. 야율초재는 몽골인과 더욱 거리가 가까웠던 중도(中都)에 남는다. 즉 지금의 북경이다. 이곳은 여.. 2018. 12. 19.
오고타이: 몽골전통과 중원문화가 만나면서 후계자에 오르다. 글: 소가노대(蕭家老大) 징기스칸에게는 네 명의 아들이 있었다. 장남 주치, 차남 차가타이, 삼남 오고타이, 사남 톨루이. 네 아들 중에서 주치(몽골어로 '손님'이라는 의미임)를 제외하고는 모두 징기스칸의 친아들이다. 네 아들은 모두 각자의 장점을 지니고 있고, 모두 영웅호걸이었다. .. 2018. 11. 23.
징기스칸의 후계자문제 글: 사종의(史宗義) 우리는 알고 있다. 징기스칸에게는 4명의 아들이 있었다. 장남 주치, 차남 차카타이, 삼남 오고타이, 사남 톨루이. 징기스칸이 가장 좋아한 아들은 넷째 톨루이였고, 가장 싫어한 아들은 첫째 주치였다. 그런데, 주치는 징기스칸이 사망하기 전에 먼저 병사한다. 징기스.. 2012. 8. 15.
"황금가족"의 분열 글: 공방(孔方) "황금가족"은 순수한 몽골인을 가리킨다. 라시드 앗 딘의 <집사>에 따르면, 몽골인의 시조는 알랑-고아이고, 그녀는 남편이 죽은 후 신인의 감응을 받아 회임하여 낳은 세 아들을 낳는다. 이런 전설이 있으므로 세 명의 신인이 낳은 아들의 후손은 가장 순수한 몽골인 .. 2012. 3. 29.
몽골군대의 최대 난적은 남송(南宋)이었다 글: 유계흥(劉繼興) 일대천교(一代天驕) 징기스칸은 사상 가장 위대한 군사가이다. 그의 몽골군단은 지구상 최강의 정복자이다. 징기스칸의 말채찍이 도달하는 곳이면, 말발굽이 도달하는 곳이면 모두 이름만 들어도 간담이 서늘해졌다. 그는 말도 탈줄 모르고 신체도 유약한 한.. 2012. 1.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