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몽14

관우(關羽)는 왜 여몽(呂蒙)에게 참패했는가? 글: 개말노생(芥末老生) 건안24년(219년), 십월, 관우가 주력부대를 이끌고 양양(襄陽, 지금의 호북성 양양시 양양구)전선에서 조조의 군대와 혈전을 벌이고 있을 때, 손권이 돌연 부대를 둘로 나누어 습격하도록 한다. 하나는 여몽, 육손이 이끄는 정예병으로 배를 타고 공안(公安, 지금의 호북성 공안현), 강릉(江陵, 지금의 호북성 형주시)을 공격하고, 다른 하나는 장흠(蔣欽)이 이끄는 수군(水軍)으로 한수(漢水)를 따라 북상하여 직접 양양(襄陽)을 친다. 관우를 겨냥한 천라지망을 조조와 손권이 손을 잡고 펼친 것이다. 여몽은 대군의 선봉부대로, 병사를 이끌고 위장된 상선(商船)에 숨어서, 관우가 장강을 따라 배치한 여러 초소의 경계망을 뚫고 공안에 도달한다. 공안의 수비장수 사인(士仁)은 권항서(勸降書.. 2023. 5. 19.
촉한(蜀漢)을 멸망으로 몰아간 5명의 반도(叛徒) 글: 정회역사호(情懷歷史號) 219년, 유비는 조조를 격패하고 한중(漢中)을 차지한다. 같은 해 유비는 유봉(劉封), 맹달(孟達)을 파견하여 상용(上庸)등의 군(郡)을 차지한다. 그때에 이르러 촉한은 형주(荊州)와 익주(益州)를 차지하고 있었으니, 촉한의 전성기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관우가 부주의로 형주를 잃고, 이릉전투에서 패한 이후 촉한은 내리막길을 걷게 된다. 그리하여 삼국중 가장 먼저 멸망한 나라가 된다. 그때 5명의 반도는 자연히 촉한이 급속히 구렁텅이에 빠지도록 만든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1. 미방(麋芳) 미방(생졸년 미상), 자는 자방(子方)이고, 동해군(東海郡) 구현(胊縣)(지금의 강소성 연운항시) 사람이다. 유비의 미부인의 남자형제이다. 미방은 원래 서주목(徐州牧) 도겸(.. 2023. 4. 20.
주유(周瑜)는 적벽대전때 동오(東吳)의 대도독(大都督)이 아니었다? 글: 장공성조(長空星照) 주유는 적벽대전을 주도하여 승리를 거두었다. 그래서 후인들은 '삼국주랑적벽(三國朱郞赤壁)'이라는 말을 하게 된다. 다만 손권은 전투를 시작하기 전에 양로(兩路)의 부대를 파견했고, 각각 주유와 정보(程普)이고, 좌우독(左右督)으로 임명했다. 그래서 어떤 사람은 적벽대전은 주유가 독립적으로 지휘한 것이 아니고, 주유는 대도독도 아니었다고 말한다. 사실의 진상은 그렇다면 어떠했을까? 대도독이라는 관직이 정식으로 나타난 것은 황무원년(黃武元年)이다. 유비가 촉한대군을 이끌고 오나라를 정벌하러 오자, 손권(孫權)이 육손(陸遜)을 대도독으로 임명하여 유비를 막게 한 것이다. 그가 지휘하는 수하의 장수들은 경력이 더 많고, 공로도 큰 사람들이었다. 예를 들어, 주연(朱然), 반장(潘璋)등이.. 2020. 10. 22.
삼국시대에 동오(東吳)에서 소년영웅이 많이 배출된 이유는...? 글: 취간역사(趣看歷史) 난세에 호걸이 많이 나온다. 삼국시대도 마찬가지이다. 이 시기에는 명장이 많이 배출되었을 뿐아니라, 나이가 젊을 때부터 군대에 들어가서 지휘를 한 소년영웅들도 많이 배출된다. 그런데, 위, 오, 촉 삼국중에서 어린 나이에 명성을 얻은 명상이 가장 많은 나라는 조위도 아니고, 촉한도 아니며, 동오였다. '강동다영호(江東多英豪)'라는 말이 전혀 지나치지 않다. 그렇다면 왜 소년영웅이 강동에서 많이 배출되었을까? 거기에는 대체로 두 가지 원인이 있다. 첫째는 '모범'의 역량이다. 강동의 기업은 손책(孫策)이 혼자 힘으로 일궈낸 것이다. 195년 손책은 원술(袁術)에게서 벗어나 장강을 건너 강동을 평정하는 전투를 시작한다. 몇년만에 일거에 강동육군(江東六郡)을 평정한다. 그러나 200년.. 2020. 9. 21.
유비와 제갈량은 왜 형주의 관우를 도와주지 않았을까? 글: 화운초(和運超) 유비가 서천을 공격하여 취하는데 거의 4년이 걸렸다(210년-213년). 건안20년(215년), 유비는 이미 익주를 완전히 점겨한다. 손권은 다시 형주를 달라고 하고 쌍방은 서로 양보하려 하지 않았다. 이때 조조는 기회를 틈타 서쪽으로 마초, 한수를 공격하여 승리를 거둔다. 마.. 2017. 9. 3.
삼국의 지장(智將) 랭킹 글: 무릉산인(茂陵散人) 인터넷에서 삼국에 관한 글들을 많이 보면서, 스스로의 견해도 말하고 싶어졌다. 이 랭킹은 정사(正史)만 고려한 것이고, 삼국연의는 고려하지 않았다. 만일 연의를 고려한다면 제갈량이 당연히 랭킹 1위가 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만일 정사를 보면, 필자의 생.. 2017. 8.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