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중국17 해외중국인의 각파별 역량분석 글: 목만(木萬) 해외 중국인사회는 이미 가치관념으로 적과 친구를 나누는 시대로 접어들었다. 가치관념으로 좌파, 중간파, 우파의 삼대 집단이 있다. 낯선사람이건 친구이건 가치관념이 같거나 비슷하면 함께 어울리고, 그렇지 않으면 서로 적대시한다. 해외에서, 이 세 종류의 사람들 수량은 각각 얼마나 될까? 먼저 좌파, 우파를 나누어보자. 1. 무엇이 좌파이고 무엇이 우파인가? 누군가의 말을 빌리면: 좌파는 친공이고, 우파는 반공이다. 좌파는 자주 애국자로 자처하면서 우파에게 매국노라는 딱지를 붙인다. 우파는 자주 자신을 민주자유의 수호자로 여기며, 좌파를 뇌잔(腦殘, 정신장애자)이라고 욕한다. 좌파에게 매국노라고 욕을 먹는 우파들은 정말 매국하는가? 사실은 정반대이다. 사람들이 보는 해외의 많은 "우파들"은.. 2022. 10. 23. 중국의 한국전쟁참전: 출병결정과정 글: 황영욱(黃迎旭) 한국전쟁은 신중국이 싸운 최초의 대규모 국부전쟁이다. 상대는 미국이라는 세계최강국이었다. 이는 아주 힘든 시험이었다. 신중국의 국력과 군사력을 시험받을 뿐아니라, 더더구나 신중국의 지도자들이 시험받는 것이다. 모택동을 핵심으로 한 중국의 지도자들은 .. 2020. 1. 9. 중국에서의 작명법 변천사: 삼국시대 인물은 왜 모두 외자이름일까? 글: 비상역사(非常歷史) <삼국연의>를 보면 이런 문제를 얘기하는 사람이 있다: 왜 삼국시대에 절대다수의 사람들은 외자이름을 가졌을까? 확실히 그렇다. 역사를 뒤져보면, 전체 동한(東漢), 삼국의 300여년간의 인명을 보면 거의 모두 외자이다. 두자 이름은 극소수이다. <후한서>.. 2019. 1. 23. 다르후트(達爾扈特)인: 징기스칸능의 수호자 글: 취역사(趣歷史) 관직을 맡지도 않고, 세금을 내지도 않으며, 무덤을 지키는 임무를 대대로 전한다. 700여년동안 한 전설의 몽골부락인 "다르후트"는 징기스칸능의 영워한 수호자가 되었다. 이 부락은 1227년 징기스칸이 병사한 이후 지금까지 충성스럽게 그의 능묘를 지키고 있다. 신중.. 2018. 12. 3. 초(肖): <백가성(百家姓)>에 나오지 않는 대성(大姓) 글: 소담야사(笑談夜史) 문자의 출현은 사람의 교류와 생활을 크게 편리하게 만들었고, 한 지역의 역사발전을 바꾼다. 한자문화권에서 중국은 문자를 기초로한 성씨문화가 연원이 길다. 매 성씨는 모두 자신의 독특한 역사연원이 있다. <백가성>은 중국전통의 아이들이 공부할 때 처.. 2018. 12. 3. 1930년대 극동최고부호 유태인 하둔의 유산쟁탈전 글: 마장림(馬長林) 1931년 6월 20일, 상해 <신보(申報)>의 "본부신문(本埠新聞)>난에는 주목할만한 뉴스가 하나 실렸다: "애려원(愛儷園) 주인 하둔(Silas Aaron Hardoon, 중국명 哈同, 1851=1931. 6.19)이 어제 오후 5시 5분에 병으로 사망했다. 향년 83세이다. 그의 병은 천식으로 지난해 가을에 .. 2017. 8. 5.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