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기질9 신기질(辛棄疾): <<청옥안(靑玉案). 원석(元夕)>> 동풍야방화천수(東風夜放花千樹) 경취락, 성여우(更吹落, 星如雨) 보마조거향만로(寶馬雕車香滿路) 봉소성동(鳳簫聲動) 옥호광전(玉壺光轉) 일야어룡무(一夜魚龍舞) 아아설류황금루(娥兒雪柳黃金縷) 소어영영암향거(笑語盈盈暗香去) 중리심타천백도(衆裏尋他千百度) 맥연회수(驀然回首) 나인각재(.. 2006. 11. 15. 동파육(東坡肉) 동파육 송나라때의 소동파(1036-1101)은 문장으로 당송팔대가에 들고, 송사로는 신기질(辛棄疾)과 더불어 쌍절로 불리우며, 서법과 회화도 독보적인 경지에 이르렀던 인물이다. 그런데, 요리에 있어서도 소동파는 일가견이 있었다. 그가 황제의 뜻을 거슬려, 황주로 쫓겨가 있을 때, 자주 스.. 2006. 1. 27. 신기질(辛棄疾)의 추노아(醜奴兒) 신기질의 추노아에는 "서박산도중벽(書博山道中壁, 박산도 중벽에 쓰다)"이라는 부제가 붙어 있다. 소년불식수자미(少年不識愁滋味) 애상층루, 애상층루(愛上層樓, 愛上層樓) 위부신사강설수(爲賦新辭强說愁) 이금식진수자미(而今盡識愁滋味) 욕설환휴, 욕설환휴(慾說還休, 慾說還休) 각도천량호개.. 2005. 7. 10.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