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송휘종52

문언박(文彦博): 북송 4명의 황제 아래에서 50년간 재상을 지내다. 글: 주효휘(周曉輝) 고대 왕조에서 제후나 재상에 오르는 인물은 기본적으로 모두 재능이 있는 사람이다. 불가의 인과응보설에 따르면, 모두 복이 있는 사람들이다. 북송때 이런 명신이 있다. 일생동안 송인종, 송영종, 송신종, 송철종의 네 황제를 모시는 동안 전후로 여러번 재상을 맡았고, 재상을 맡은 기간이 50년에 이르며, 평생 불법을 독실하게 믿어, 일찌기 10만명을 모아 함께 염불한 바 있다. 그 외에, 아주 장수하여 91세에 좌화한다. 병없이 편안히 죽는다. 그의 이름은 바로 문언박이다. 문언박(1006-1097), 자는 관부(寬夫), 산서 분주(汾州) 개휴(介休) 사람. 그의 조상은 성이 경(敬)이다. 나중에 후진의 고조 석경당(石敬瑭)의 이름을 피휘하여 '경'에서 문(文)으로 성을 고친다. 후진이.. 2021. 9. 17.
조옥반(趙玉盤): 송휘종 장녀의 비참한 일생 글: 왕덕항(王德恒) 송휘종의 장녀로서 그녀도 화를 피할 수 없었다. 그녀의 일생은 너무나 비참했다. 북송원부3년(1100) 정월, 송철종 조후(趙煦)가 붕어한다. 후사를 남기지 않았다. 향태후(向太后)의 극력지지로 당시의 단왕(端王), 사공(司空), 소덕창덕군절도사(昭德彰德軍節度使)이었던 송휘종이 즉위한다. 송휘종이 등극한 후, 향태후가 군국대권을 장악한다. 그리고 자신의 곁에 있던 궁녀인 정씨(鄭氏)를 송휘종에게 보낸다. 정씨는 송휘종이 즉위하기 전에도 자주 향태후의 명을 받아 그를 모신 바 있다. 지금은 정식으로 송휘종의 완의(婉儀)가 되었다. 그 해애 딸 조옥반을 낳는다. 그녀는 송휘종의 장녀이다. 북송 건중정국원년(1101) 정월, 향태후가 사망한다. 송휘종이 친정을 시작한다. 조옥반은 덕경공주.. 2020. 12. 15.
단오(端午)의 유래에 관하여 글: 교치백교복(喬治伯校服) "단오"라는 단어가 가장 먼저 나오는 것은 진(晋)대 주처(周處)의 <풍토지>이다: "중하단오(仲夏端午), 팽목각서(烹鶩角黍)", "중하단오(仲夏端午), 단(端), 시야(始也), 위오월초오야(謂五月初五也)" 음력은 지지(地支)로 달을 표시한다. 정월은 인(寅), 이월.. 2019. 6. 6.
송휘종이 송흠종에게 양위한 경위 글: 문재봉(文裁縫) 사료기록에 따르면, 송휘종에게는 32명의 아들이 있다. 그 중 조환(趙桓)은 장자(長子)이며, 적자(嫡子)이다. 그는 유일한 황후 소생의 황자이다. 기런 혁혁한 출신으로 인하여, 출생때부터 조환은 표준적인 후계자의 길을 걷는다. 먼저 왕에 봉해지고, 다시 태자로 세워.. 2019. 1. 4.
명나라때의 비구니 글: 장계합(張繼合) 중국역사에 조금 밝은 사람이라면 분명히 들은 적이 있을 것이다. "장당난한(贓唐爛漢)" 확실히 행복한 생활을 추구하는 측면에서 이 두 왕조는 통이 컸다. 왕왕 외래인구도 받아들여서 같이 자신의 생활을 만들어갔다. 송나라때는 조광윤의 시야가 좁았고 문인기질을.. 2019. 1. 2.
중국고대의 인(印), 장(章), 새(璽). 글: 청풍명월소요객(淸風明月逍遙客) 중국의 인장문화는 이미 3000여년의 역사를 지녔다. 많은 인장의 배후에는 나름대로의 이야기가 있다. 도장은 실용과 예술의 결합체이다. 유구한 민족문화전통과 특색을 지닌 예술의 보배이다. 북경올림픽때 중국인을 채택한 이래, 인류 비물질문화.. 2018. 12.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