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139 장평지전(長平之戰)때 백기(白起)는 40만 조군(趙軍)을 갱살(坑殺)했는가? 글: 대취후의생(大嘴猴醫生) 진나라의 명장 백기는 후인들이 전신(戰神)이라 떠받든다. 왜냐하면 그는 일생동안 70여번의 전투에서 한번도 패배한 적이 없기 때문이다. 그중 가장 유명한 것은 장평지전이다. 백기는 진나라병사를 이끌고 조괄(趙括)이 지휘하는 조군을 격패시킨다. 그리고.. 2019. 1. 7. 진승(陳勝)은 칭제한 후 또 다른 반란주역 오광(吳廣)을 어떻게 대했는가? 글: 풍전사감(瘋癲史鑒) 기원전209년, 진승은 대택향(大澤鄕)에서 "왕후장상에 씨가 따로 있느냐?"는 말로 반란의 기치를 내건 후, 진나라의 폭정에 시달리던 백성들은 전국각지에서 속속 호응해왔다. 1개월도 되지 않아, 진승의 반군은 겨우 900명의 가난한 백성에서 시작하여, 수만의 보병.. 2019. 1. 6. 조고(趙高)는 내시였을까? 글: 청풍명월소요객(淸風明月逍遙客) 조고는 모두 알고 있다시피 중국역사상 가장 악명을 떨친 인물 중 하나이다. 그는 왕진(王振), 유근(劉瑾), 위충현(魏忠賢)등 권력을 쥐었던 내시(權閹)의 조사야(祖師爺)로 여겨진다. 조고는 환관(宦官)으로 시작하여 진이세의 그에 대한 총애를 바탕.. 2019. 1. 3. 사마천이 한무제에게 궁형을 당한 이유는...? 글: 문재봉(文裁縫) 이릉(李陵)의 할아버지 이광(李廣)은 천하에 이름을 날린 신전수(神箭手)였다. 이릉도 할아버지의 재능을 이어받아 그의 오천보병은 고르고 골라 능력이 뛰어난 '신전수군단'이었다. 이릉의 부대가 일당십을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모두 수중의 활에 의존한 것이다. 다만.. 2019. 1. 2. 누란(樓蘭): 한나라에 맞섰던 실크로드의 소국(小國) 글: 풍장안량(風長眼量) 청해장운암설산(靑海長雲暗雪山) 고성요망옥문관(孤城遙望玉門關) 황사백전천금갑(黃沙百戰穿金甲) 불파누란종불환(不破樓蘭終不還) 이것은 당나라초기 왕창령의 저명한 변새시(邊塞詩)이다. 어떤 사람은 기이하게 여길 것이다. 당나라때 누란이 아직 남아 있.. 2018. 12. 28. 장평지전(長平之戰) 배후의 역사의문점 글: 서병박(徐兵博) 전국역사에 중요한 일전인 "장평지전"은 역대이래로 사람들의 관심을 끌었다. 이 전투는 진나라의 명장이자, 후세인들이 전신(戰神)으로 떠받드는 백기가 지휘한 진,조 양국의 전투이다. 경과는 대체로 이러하다: 전국시대 말기, 진나라가 한(韓)나라의 상당(上黨)을 .. 2018. 12. 2. 이전 1 2 3 4 5 6 ··· 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