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불교10

"탈중국화"가 가장 철저한 4개 국가는...? 글: 지호(知乎) 근대는 서방의 침입으로, 중화문화가 쇠퇴의 길을 걸었다. 사방의 주변국가들도 점점 탈중국화를 시작하게 된다. 그렇다면, "탈중국화"가 비교적 엄중하게 진행되고 있는 나라들은 어디일까? 사실상 이들 국가에는 한국, 몽골, 베트남, 싱가포르가 포함된다. 이들 국거에서는 거의 중화문화와 관련된 요소를 볼 수 없게 되었고, 한 나라는 완전히 서구화되었다. 그들은 어떤 나라들일까? 1. 한국: 불교에서 기독교로 이 나라는 현재 중국과 여러가지를 다투고 있다. 예를 들어 무슨 명절, 문화, 유명인사등등. 그러나, 한국은 이전에 거의 중국을 그대로 따라했었다. 당시에는 연호조차도 숭정제의 연호를 그대로 썼으니, 한국의 한화(漢化)정도가 얼마나 심했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은 이전에 중국의 한자.. 2023. 5. 2.
당나라때 강성했던 토번(吐蕃)은 왜 신속히 쇠락했을까? 글: 남방적하(南方的河) 지도를 펼쳐보면, 아시아의 청장고원(靑藏高原)은 확실히 두드러진다. 거기에는 신성한 설산이 있고, 독특한 기후가 있고, 순박한 유목민이 있다.거기에는 일찌기 강대한 정권이 출현했었다. 그 정권은 당나라, 아랍제국과 삼국정립의 형세를 이룬다. 그것은 바로.. 2019. 5. 21.
"대명(大明)" 국호의 유래에 관한 몇 가지 견해 글: 비객방(痞客邦) 명나라의 국호에 대하여 비교적 일찍 주목한 것은 종교관련자이다. 오함(吳晗)이 1941년에 발표한 <명교와 대명제국>일 것이다. 오함은 '대명'의 국호는 한씨부자의 '명왕(明王)' 즉 <대소명왕출세경(大小明王出世經)>에서 유래했다고 보았다. 그리고 명교는 당.. 2018. 12. 26.
노자(老子)는 언제부터 태상노군(太上老君)으로 칭해졌는가? 글: 자주군(煮酒君) <사기>의 기록을 보면 알 수 있다. 노자의 이미지는 한나라때까지는 아직 신격화되지 않았다. 사마천은 단지 그를 장수한 노인으로 기록하고 있을 뿐이다. 사마천이전의 적지 않은 전적에서도 노자에 관한 기록이 있다. 그러나 모두 노자가 신선이 되었다는 내용.. 2018. 6. 29.
고대중국 여인의 전족(纏足)은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글: 뇌동(磊東) 현대인류학 지식은 우리에게 알려준다. 인류의 자연법칙중에서 남녀양성은 인류사회에서의 작용이 서로 같다는 것을. 다만, 중국에서 수천년동안의 전통관념에서 여햐한 양자의 경쟁은 어느 일방이 자신을 끌어올리는데, 자신의 종합적인 실력으로 스스로를 끌어올리는 .. 2017. 10. 31.
오행(五行)과 사상(四象): 중국은 왜 오행을 선택했을까? 글: 주주천당(走走天堂) 물질구성기초를 인식하는데 있어서, 동양과 서양은 서로 전혀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다. 동방문화 특히 중국은 극력 "금목수화토(金木水火土)"의 오행론을 숭상했다. 그리고 오행의 이론을 중의(中醫), 역법(歷法), 윤리(倫理)등 사회 각방면으로 적용시켰고, 삼교.. 2016. 3.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