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무왕벌주10

하상주단대공정에 대한 이견 작자: 미상 하상주단대공정이 일단락되고, 단계적인 연구보고서가 제출되었다. 무왕벌주(武王伐紂)는 기원전1046년 1월 20일에 발생하였다고 결론내렸다. 그러나, 이 결론에 대하여 필자는 이견이 있다. 먼저 필자는 단대공정에서 사용된 방법은 과학적이라는 것을 인정한다. 기본점은 믿.. 2013. 7. 12.
주(周)나라의 전차(戰車) 글: 별묵(別墨) 주(周)나라 사람들의 입국(立國)은 고옥건령(高屋建瓴) 즉 높은 집에 물동이를 두면 아래로 흘러가는 것과 같이 높은 곳에서 아래를 향해서 공격해가면 쉽게 이길 수 있다는 것이다. 동쪽으로 향하면서 천하를 제압했다. 국력이 향하는 곳은 첫째, 동관(潼關)을 나가서 .. 2013. 7. 12.
오(吳): 주(周)나라때의 최대제후국 글: 오한운(吳閑雲) 아주 오래 전에 주나라때 중화대지에는 많은 제후가 있었다. 당시에 약 팔백여개의 제후국이 있었다고 한다. 한 부락이 한 나리아고, 한 가족이 한 나라이고, 한 성이 한 나라였다. 대국의 토지는 1백리 혹은 칠십리이고, 소국의 토지는 오십리등 서로 달랐다. 이렇게 좁은 땅을 가진 제후국들은 여러 별이 달을 감싸고 도는 것처럼 주천자의 왕성을 둘러싸고 있었으며 전체 황하유역을 가득 메우고 있었다. 만일 주천자가 천하의 대왕이라고 한다면, 각 제후는 지방의 소왕이다. 그렇다면 이들 제후들 중에서 누가 주왕조의 제1의 제후일까? 우리가 일반적으로 가진 인상 속에서는 강자아(姜子牙)의 제(齊)나라가 아마도 제일로 꼽을 것이다. 왜냐하면 강자아는 강자아는 주무왕의 스승이고, 주무왕의 장인이며,.. 2013. 5. 18.
중국사료에 나타난 헬리혜성 글: 오한운(吳閑雲) 역사상, 누가 가장 먼저 헬리혜성을 발견했는가? 바로 중국인이다. 중국은 세계최초의 혜성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개략 기원전 1057년, 중국인은 유명한 헬리혜성의 최초기록을 가지고 있다. 이는 서구에 비하여 1100여년이 앞선 기록이다. 기원전 1057년의 "무왕벌주(武.. 2012. 12.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