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골문18 "대읍상(大邑商)": 은허(殷墟)도성역사의 비밀을 푼다. 글: 하육령(何毓靈) (광명일보 2023년 4월 9일자게재) 고고학은 고대 유적지의 구조와 배치를 연구하는 것을 최우선 과제로 한다. 적게는 우물, 집터부터 크게는 묘지, 작방(作坊)등등 모두 유적지를 구성하는 핵심요소들이다. 모든 고고학자들은 모든 요소를 분명하게 설명하는 것을 꿈꾼다. 그러나 왕왕 생각처럼 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실현하기 어렵다. 만일 시간과 공간적인 요소까지 고려한다면, 유적지의 발굴과 연구는 더욱 복잡하고 시간이 걸리는 일이다. 많은 대형 도성유적지는 거의 몇대의 고고학자들이 바통을 이어받아 연구하여, 비로소 풍성한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 그러나 새로운 문제도 연이어 나타난다. 갑골문(甲骨文)의 고향, 상나라말기의 도성(都城)인 은허(殷墟)는 더욱 그러하다. 은허의 갑골문에는 ".. 2023. 4. 12. 출토유물로 본 상(商)이 하(夏)를 멸망시킨 이유는...? 글: 소가노대(蕭家老大) 하왕조는 중국사서에 기록된 최초의 세습제 왕조이다. 건국자는 요순우(堯舜禹)시대의 우(禹)이다. 하왕조는 전후로 약 471년간(기원전2070년-기원전1600년) 존속했고 후인들은 스스로를 '화하(華夏)'로 자칭하여, 중국의 대명사가 된다. 3,600년전에 상(商)이 하(夏)를 멸망시키고 상탕(商湯)이 상왕조를 건립한다. 당시 하왕조의 수도는 현재의 정주(鄭州)와 낙양(洛陽)의 사이에 있는 언사현(偃師縣) 일대에 위치하고 있었다. 상탕이 건립하기 시작한 초기 상왕조의 수도는 당시 하왕조의 수도 부근에 있었다. 즉 현재의 정주(鄭州) 상성(商城) 유지이다. 하왕조의 마지막 왕은 하걸(夏桀)이다. 상탕이 하걸을 이길 수 있었던 것에 대한 역사적인 설명은 이러하다: 하걸은 포악하고, 생.. 2020. 6. 3. 상(商)나라때 붓으로 글씨를 썼을까? 글: 강보군(姜寶君) 금년은 갑골문(甲骨文) 발굴 120주년이 되는 해이다. 얼마전에 필자는 '건강쾌차'친자탐방단을 따라 안양의 은허박물관(殷墟博物館)으로 가서 현장에서 3천여년전의 중화문명의 신비와 매력을 느끼고 왔다. 은허박물관에 갑골문의 요소는 곳곳에서 볼 수 있다. 박물관.. 2019. 9. 24. 무을사천(武乙射天): 은상(殷商)말기의 수수께끼같은 사건 글: 황수(黃帥) <사기> 본기편의 전3장을 읽어보면, 사마천이 오제와 하상시기의 역사에 대하여 상당히 간략하게 적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러 통치자에 대한 기록은 겨우 이름만 있고, 어떤 경우는 개략적인 재위기간만 있다. 더 많은 경우는 그저 한마디만 하고 지나간다. 누가 '.. 2018. 10. 24. 하왕조(夏王朝)는 존재하지 않았다. 글: 고파화사(古巴話史) 하왕조가 존재했다고 믿는 이유는 바로 중국의 <상서> <사기>에 명확히 적혀 있기 때문일 것이다. 문제는 <상서>에 기록된 하(夏) 그리고 요순우(堯舜禹)의 기록은 날조되었다는 것을 청나라사람들이 이미 고증한 바 있다. 날조연대는 분명 전국시대보.. 2018. 8. 5. 제로대학(齊魯大壑): 한때 남제북연(南齊北燕)으로 불리던 명문대학 글: 악남(岳南) 옛날에 제로대학은 국내외에 명성을 날렸다. 현재 이 대학은 이미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 건축물과 교육, 학술전통은 여전히 후세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제로대학의 역사는 1904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미국, 영국 및 카나다에서 온 여러 기독교회, 북미장로교회가 .. 2018. 6. 29.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