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4/11/214

무송(도두), 임충(총교두), 노지심(제할관)중 누구의 관직이 가장 높을까? 글: 두두역사미(兜兜歷史迷)​우리가 를 보게 되면, 양산박의 대부분 영웅호한은 북송의 관리를 지낸 바 있음을 알 수 있다. ​무송(武松), 임충(林冲)과 노지심(魯智深)은 양산에서 무공이 가장 높은 사람들이다.​만일 무공으로 따진다면, 승부를 가리기 어려울지 모른다. 그러나 세 사람이 맡았던 관직은 고하를 가릴 수 있다.​도두(都頭) 무송​만일 행자 무송을 얘기하자면, 부득이 그가 경양강에서 18사발의 독한 술을 마시고 맨손으로 호랑이를 때려잡은 일을 얘기해야 한다.​그러나, 오늘 얘기할 것은 그런 재미있는 장면이 아니라, 무송이 이전에 맡았던 적이 있는 관직이다.​무송은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났고, 어려서 부모가 모두 돌아가신다. 그는 형인 무대랑(武大郞)과 함께 자란다.​어렸을 때, 두 형제는 성격이 .. 2024. 11. 21.
승상(丞相)과 재상(宰相): 어떻게 다른가? 글: 두두역사미(兜兜歷史迷)​고대에 명칭이 아주 비슷한 관직이 있다. 하나는 승상(丞相)이고 다른 하나는 재상(宰相)이다.​사람들의 느낌으로 말하자면 이 두 개의 관직은 아주 유사하다. 이름이 비슷한 것뿐 아니라, 지위도 유사하고, 심지어 하는 일도 비슷하다. 그렇다면 승상과 재상은 하나의 직위에 대한 두 가지 서로 다른 명칭인 것일까?​기실 그렇지는 않다. 그러나, 재상과 승상은 한 사람이 가질 수도 있다.​중국의 상기(象棋, 우리나라의 장기)에 있는 말중에 "상(相)"이 있다. 여기의 "상(相)"은 누구를 가리키는 것일까? 승상과 재상은 도대체 무슨 관계인가? 그들중 누가 권력이 더 큰가?​오래전에 승상이라는 관직은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것처럼 "일인지하(一人之下), 만인지상(萬人之上)"의 관직이 아.. 2024. 11. 21.
누르하치의 아들 16명의 서로 다른 삶... 글: 한래독사서(閑來讀史書)​누르하치는 후금정권의 건립자이고, 청왕조의 창업자이다. 그는 일생동안 16명의 아들을 두었다(기록상). 황팔자 홍타이시(皇太極)가 황제에 오른 외에 3명은 철모자왕(鐵帽子王)이 되었고, 4명은 선종(善終)하지 못했다.​황장자(皇長子) 추잉(褚英, 1580-1615)​원비(元妃) 퉁자씨(佟佳氏) 소생이며, 19살때, "홍바투루(洪巴圖魯)"의 칭호를 얻고, 패륵(貝勒)에 봉해진다. 나중에 다시 "아르하투투먼(阿爾哈圖土門)"에 봉해지고, 명을 받아 국정을 관장한다.​그는 일찌기 이렇게 말한 바 있다: "내가 즉위후, 나와 사이가 나쁜 동생들과 대신들을 주살해버리겠다." 그리하여 형제와 "개국오대신(開國五大臣)"으로부터 원한을 산다.​1613년 향을 사르고 대신과 형제를 저주했다고 .. 2024. 11. 21.
이암(李岩)의 신세내력과 대순(大順)의 멸망 글: 오유신(吳有信)​1944년 항일전쟁 7년째를 맞이하여, 각 정치세력 새롭게 판을 짜고 있을 때, 중국은 명나라멸망 300주년기념일을 맞이한다. 당시 중국의 내외정치환경은 이제 막 만청외족통치를 무너뜨린지 얼마 되지 않았고, 새로운 외적이 다시 문앞까지 쳐들어와 있는 상태였다. 국면이 명나라말기와 상당히 비슷했다. 숭정제(崇政帝)와 유사한 장개석(蔣介石), 그리고 이자성(李自成)과 비슷한 모택동(毛澤東), 그리고 오삼계(吳三桂)와 비슷한 왕정위(汪精衛), 그리고 만청(滿淸)과 비슷한 일본인까지.​선전을 잘 하던 공산당이 영도하는 좌파문인들이 이런 절호의 기회를 놓칠 리 없다. 그리하여, 교관화(喬冠華), 전백찬(翦伯贊)은 곽말약(郭沫若)을 찾아가서 상의를 한 다음 곽말약이 시사를 풍자하는 기념글을 쓰.. 2024. 11.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