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8934 중국의 역대 전인대 상무위원장 중국의 전인대는 우리나라의 국회에 해당하며, 전인대 상무위원장은 우리나라의 국회의장에 해당합니다. 국가주석, 총리 다음의 서열 3위에 해당하는 직위입니다. 1. 유소기, 劉少奇, 류샤오치 (제1기, 1954-1959) 2. 주덕, 朱德, 주더 (제2, 3, 4기, 1959-1978) 3. 섭검영, 葉劍英, 예젠잉 (제5기, 1978-1983) 4. 팽진, .. 2005. 11. 26. 중국의 삼대 상방(商幇) 중국에서도 상인의 역사는 길다. 특히, 명청시대에는 전국에서 개략 10개정도의 큰 상방(商幇)이 나타나는데 그 중 가강 세력이 크고, 영향력이 컸던 상방은 세군데이다. 바로 진상(晋商), 휘상(徽商), 조상(潮商)이 그들이다. 진상 진상의 흥망성쇠는 장예모 감독이 만든 공리 주연의 <<홍등>>을.. 2005. 11. 26. 중국역사상 10대 명의(名醫) 1. 황제(黃帝) : 침구(針灸, 침과 뜸)의 창시자. 황제는 전설상의 중화민족의 선조이다. 현재 존재하는 <<황제내경>>은 황제가 기백(岐伯), 뇌공(雷公)과 의학에 대하여 토론한 저작이다. 이 책에서는 침을 놓는데 대한 기재와 논술이 특히 상세하다. 2. 편작(扁鵲) : 맥(脈)학의 창시자. 성은 진(秦).. 2005. 11. 22. 북경대학의 교훈(校訓) 2003년 2월 13일 <<중화독서보>>에 <<漫話校訓>>이라는 글을 발표한 김개성(金開誠) 교수는 청화대학의 교훈은 "자강불식, 후덕재물(自强不息, 厚德載物, 주역에 나오는 건괘, 곤괘로서 스스로 계속 노력하여 쉬지를 않는다는 의미와 덕이 넓어 천하만물을 키운다는 의이밈)"이고 북경사.. 2005. 11. 21. 달(月)의 이칭, 별칭, 미칭등 1. 백토(白兎) 2. 백옥반(白玉盤) 3. 반륜(半輪) 4. 보경(寶鏡) 5. 빙호(氷壺) 6. 빙감(氷鑒) 7. 빙경(氷鏡) 8. 빙륜(氷輪) 9. 빙반(氷盤) 10. 빙백(氷魄) 11. 선연(嬋娟) 12. 섬여(蟾[蟲+余]) 13. 섬궁(蟾宮) 14. 섬광(蟾光) 15. 섬반(蟾盤) 16. 상아([女+常]娥) 17. 방휘(方暉) 18. 비경(飛鏡) 19. 비륜(飛輪) 20. 고토(顧[草+兎]) 21.. 2005. 11. 20. 중화민국의 국가원수 개시일 종료일 직위 성명 1912. 1. 1. 1912. 4. 1 임시대총통 손중산(孫中山) : (2. 13. 선통제퇴위) [북양정부(北洋政府)] 1912. 3. 10 1913. 10. 10. 임시대총통 원세개(袁世凱) 1913.10.10 1915. 12. 12 대총총 원세개 1916. 1. 1 1916. 3. 22 홍헌황제(洪憲皇帝) 원세개 1916. 3. 22 1916. 6. 16 대총총 원세개 1916. 6. 17 1917. 7. 1 대총통 여.. 2005. 11. 18. 이전 1 ··· 1448 1449 1450 1451 1452 1453 1454 ··· 14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