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943

중국정부의 일본에 대한 전쟁배상 요구포기의 과정 (2) 1950년 6월 25일, 한반도에서는 전쟁이 폭발하였다. 미소 양진영의 첫번째 무장충돌이었다. 미국과 중국의 개입으로 6.25는 단순한 내전에서 국제전쟁으로 변모한다. 미국은 이번 공산주의확장을 저지하는 전쟁을 승리로 이끌기 위하여 일본을 반공의 선봉에 서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미국은 하루빨리 .. 2006. 2. 19.
중국정부의 일본에 대한 전쟁배상 요구포기의 과정 (1) 국제관례에 따르면, 전쟁후에 체결하는 평화조약에는 모두 전쟁배상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패전국이 승전국에게 지급하는 배상금의 금액은 때때로 놀랄만한 숫자인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1894-1895년 청일전쟁종결후에 전승국인 일본은 시모노세키조약을 통하여 전쟁배상의 명목으로 패전국인 청.. 2006. 2. 19.
[상식] 인민해방군의 계급 장군 : 상장(上將), 중장(中將), 소장(少將) 영관(校官) : 대교(大校), 상교(上校), 중교(中校), 소교(少校) 위관 : 상위(上尉), 중위(中尉), 소위(少尉) 사관 : 육급사관(六級士官), 오급사관, 사급사관, 삼급사관, 이급사관, 일급사관 사병 : 상등병(上等兵), 열병(列兵) 2006. 2. 19.
이덕수(李德洙) 이덕수(Li Dezhu) 1943년 11월 생. 길림성 왕청 사람. 조선족 1965년 중국공산당 가입 1967년 연변대학 정치계 졸업 중공왕청현위상임위원겸 공청단왕청현위서기, 중공왕청현위선전부부장, 부서기, 공청단중앙위원, 공청단길림성위부서기, 길림성청년연합회주석, 중국용정현위서기, 연변조선족자치주위서.. 2006. 2. 18.
조남기(趙南起) 조남기(Zhao Nan Qi) 1927년 4월생. 길림 영길 사람 1945년 12월 인민해방군 입대. 해방국후근학원지휘계 졸업. 상장(上將)계급 1947년 중국공산당가입 1945년 12월 - 1947년 12월 동북군정대학길림분교 반장, 길림성민운공작대원 1947년 12월 - 1948년 3월 길림성 연변지위 조직부 문서,간사 1948년 3월 - 1950년 10월 길림.. 2006. 2. 18.
양진녕(梁振寧)과 옹범(翁帆) 양진녕은 중국계로서는 최초로 노벨물리학상을 받은 학자이고, 나이가 83세이며, 옹범은 양진녕에게 시집간 25세의 양진녕보다 58살 어린 부인이다. 두 사람에 관하여 홍콩의 <<아주주간(Asia Weekly)>>에서 쓴 글이 최근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 2006. 2.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