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의 정치/중국과 일본

일본의 유구(琉球)왕국 병합 경위는...?

by 중은우시 2023. 5. 23.

글: 양택휘(楊澤暉)

 

중국과 유구왕국의 교류는 역사가 길다.

 

유구군도(琉球群島)는 일본 규슈섬의 서남쪽에서 중국대만의 동북쪽의 사이에 크고 작은 섬 55개를 포함하고 있고, 3개의 비교적 큰 군도로 나눌 수 있다. 북부는 엄미군도(奄美群島, 일본명 아마미제도), 중부는 충승제도(冲繩諸島, 일본명 오키나와제도), 남부는 선도제도(先島諸島, 일본명 사키시마제도)이다. 유구국의 역사서 <중산세감(中山世鑒)>에 따르면, 수양제(隋煬帝)가 우기위(羽騎尉) 주관(朱寬)에게 명하여 다른 나라들의 풍속을 알아보라고 보냈을 때, 이곳에 도착한 적이 있다고 한다. 멀리서 보니 섬들이 마치 규룡(虬龍)이 큰 바다에 또아리를 틀고 있는 것같아서, "유구(流虬)"라고 명명했다고 한다. <수서.유구전>을 보면 이에 대해 상세한 문자기록이 있다. 그후 중국에서는 "유구(流求)", "유구(瑠求)"등으로 이곳을 부르다가 명나라 홍무연간부터 "유구(琉球)"라는 명칭이 정식으로 확정된다.

 

당송시기 유구와 중국은 무역거래관계를 유지하고, 중국에 조공을 바치지는 않았다. 원성종(元成宗)은 사신을 유구에 보낸 적이 있는데, 유구인들이 힘을 합쳐서 저항하여 성공하지 못했다. 12세기, 유구에는 북산, 중산, 남산의 3개의 독립왕국이 형성된다. 1372년, 명나라정부는 양재(楊載)를 사신으로 유구3국에 파견하고, 각각을 삼국의 국왕으로 책봉한다. 삼국도 명확하게 명나라에 칭신하고 조공을 바치겠다고 약속한다. 이때부터 유구는 정식으로 명의 번속국이 되고, 명나라를 중심으로 한 조공체계에 편입된다. 1429년, 중산국이 북산, 남산 두 나라를 소멸시키고, 유구의 통일을 이룬다. 중산국의 국왕은 명정부에 의해 "유구국왕"으로 책봉된다.

 

명나라때 유구와 중국의 관계는 급진전되고, 조공의 모범이 된다. 역대 유구국왕은 모두 명왕조의 책봉을 받았고, 중국연호와 역법을 사용했다. 유구의 공식문서, 외교조약, 정사(正史)등은 모두 한자로 쓰여졌다. 1392년, 주원장이 복건36성(姓)의 의 조선과 항해에 능한 자를 유구로 보내어, 중국의 선진적인 기술을 전수하여, 중국과 유구의 무역왕래를 촉진시킨다. 1430년, 명왕조는 유구국왕 파지(巴志)에게 "상(尙)"이라는 성(姓)을 하사하여, 더욱 중국과 유루간의 번속관계를 공고히 한다. 명나라가 세워진 때로부터 유구는 중국에 182차례나 조공을 바쳤다. 중국과 밀접하게 교류하면서, 유구는 유가문화와 중국의 풍습을 받아들였고, 지리적인 우세를 이용하여, 중국, 일본등 주요무역대상국들과의 해외무역을 확장한다. 중국에 대한 조공에서, 유구는 문화, 경제와 정치적 이익을 취하면서 종주국에 대한 구심력이 강화되었다.

 

명나라가 멸망한 후, 유구는 계속하여 청나라와 조공관계를 유지한다. 1646년, 유구국왕 상현(尙賢)은 청왕조에 책봉을 요청한다. 청나라의 예부는 유구가 명나라에서 하사한 칙인(勅印)을 아직 바치지 않았으므로, 책봉하기 곤란하다고 하면서 거절한다. 1654년, 유구는 명나라의 칙인을 제출하고 다시 한번 책봉을 요청한다. 그러자 청왕조는 이를 윤허한다. 1663년, 청왕조는 정식으로 상질(尙質)을 유구국왕으로 책봉하고, 청나라와 유구간의 우호적인 관계를 시작한다. 청나라때, 유구와 청나라는 밀접한 조공관계를 계속 유지하였으며, 조공횟수가 100차례이상에 이른다.

 

유구는 중국의 번속국으로 동아시아 조공체계의 중요한 구성부분이었다. 유구는 중국을 종주국으로 받들고, 중국도 유구를 번속국으로 대했다. 다만, 유구의 내정에 대하여 중국은 한번도 간섭한 적이 없다. 주원장시기부터, 명나라정부는 조공국에서 "오면 거부하지 않고, 떠나면 붙잡지 않는다(來而不拒, 去而不追)"는 방침을 정했다. 종주국과 번속국 쌍방의 밀접하고 우호적인 관계는 자발적인 기초 위에서 건립되었고, 강제한 것이 아니었다. '군신부자', '충효절의'등 유가사상을 지도이념으로 삼아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교류가 이루어지면서 동아시아지구에는 중국을 중심으로 한 안정적인 지역국제체제가 형성된다.

 

일본은 유구를 병합하기 위해 고심하다.

 

독보적인 지리적 장점으로 유구는 점차 중국과 일본간의 해상무역요충지가 된다. 중일양국의 물산을 교환하면서 유구는 중간에서 거대한 이익을 챙긴다. 그러나 이로 인해 일본이 욕심내어 노리는 대상이 된다. 1591년, 토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가 조선을 침략하면서, 제후 시마즈씨(島津氏)를 보내 유구에 출병하여 도와달라고 요청하게 된다. 일본이 자금을 댈테니 정복전쟁을 도와달라는 것이었다. 토요토미 히데요시는 "만일 명을 따르지 않으면, 먼저 너희 나라부터 멸망시키고, 모조리 불태워버리겠다. 너희는 알아서 잘 처신해라."라고 협박한다. 그러나, 유구국왕은 이 일을 명나라에 보고하고, 일본의 요구를 거절한다.

 

1609년 4월, 시마즈씨가 유구의 수리성(首里城)을 공격하여, 국왕 상녕(尙寧)을 포로로 잡고, 그에게 매년 일본의 사쓰마번(薩摩藩)에 양식을 수송하겠다는 서류에 서명하도록 강제한다. 이때의 명나라는 한편으로 국내에서 연이어 발생한 지진, 홍수와 농민반란, 그리고 누르하치의 침입에 대응하느라 바빠서 유구를 돌볼 겨를이 없었고, 다른 한편으로, 조선을 도와 토요토미 히데요시를 물리치는데 국력을 쏟아붇고 있어서 유구까지 돌볼 여유가 없었다. 유구의 인민들은 사쓰마의 아무런 이유없는 침략에 항거했고, 내심으로는 중국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기를 더욱 바랐다. 그러나 국력이 약소하다보니 사쓰마의 압박을 벗어날 수가 없었다. 그래서 사쓰마에 조공을 바치는 동시에 중국에도 계속하여 조공을 바친다. 그리하여 "양쪽에 모두 번속"되는 기이한 국면이 형성된다. 그후 일본은 사실상의 침략을 '상공(上貢)'으로 포장했고, 이를 가지고 유구가 일본의 '번속국'이라고 하면서, 일본이 무력으로 유구를 압박한 역사를 가리고자 한다. 또한 일본이 사실을 무시하고 강제로 타국영토를 일본판도에 편입시키는 서막을 열게 된다.

 

1868년, 메이지유신이후, 일본은 자본주의발전과 군국주의확자으이 길로 들어선다. 유구는 일본 본토에 가깝고, 국력도 약하다보니, 일본이 대외확장하는데 첫번째 목표물이 된다. 1868년 일본정부는 "태정관령(太政官令)"을 반포하여, 강제로 유구를 일본 가고시마현(鹿兒島縣)의 관할하에 둔다. 그리고 유구를 일본 "화족(華族)" 서열에 넣어, 청왕조가 유구국왕 상태(尙泰)에게 내린 왕호(王號)를 폐지한다. "화족"은 일본귀족을 부르는 명칭이다. 일본은 이 조치를 통하여,  점차 유구를 일본에 속하는 분위기를 형성한다. 1873년, 일본은 다시 유구를 내무성(內務省)의 관할을 받도록 하고, 조세를 대장성(大藏省)에 납부하도록 하여, 일본내정의 궤도에 편입시킨다. 1875년, 일본은 병력을 유구에 파견하여 주둔시키고, 유구로 하여금 메이지연호를 쓰도록 명령하며, 더 이상 청정부에 조공을 바치지 못하도록 한다. 다음 해, 일본은 유구에 경찰과 사법기구를 설치하고 직접 식민통치를 실행한다.

 

1877년, 유구국왕은 밀사를 청왕조에 파견하여 도움을 구한다. 그러나 청정부는 이 일을 그다지 중시하지 않았다. 청정부는 주일공사 하여장(何如章)에게 이 일을 조사하도록 명하고, 일본정부에 엄정하게 항의하도록 한다. 다만, 일본정부는 청정부의 나약한 본성을 알고 있었다. 그리고 일본의 실력은 점차 강해지고 있어서 청정부의 항의에 별로 신경쓰지 않았다. 1879년 4월, 일본은 정식으로 유구를 오키나와현으로 고친다. 그리고 나베시마 나오요시(鍋島直彬)를 초대 오키나와현지사로 임명한다. 그리고 무력으로 유구국왕을 붙잡아 일본으로 이주시킨다. 이렇게 하여 일본은 유구병합을 완성하고, 유구는 멸망하게 된다.

 

청정부는 비록 유구를 보호하는 문제에서는 소극적이었지만, 유구의 종주국으로서 시종 일본의 유구병합을 승인하지 않았다. 그리고 일본에 여러번 교섭과 항의를 진행한다. 유구병합에 대하여 국제적인 인정을 받고, 청정부의 이의를 물리치기 위하여, 일본은 1880년 10월 청정부와 <유구조약의고(琉球條約擬稿)>를 작성한다. 그 내용은 유구군도의 북부는 일본에 귀속하고, 군도의 남부즉 미야코(宮古), 이시가키(石桓), 아에야마제도(八重山諸島)를 포함한 선도제도(先島諸島, 일본명 사키시마제도)는 청나라에 귀속시키는 것으로 규정했다. 이 조약초안은 청나라정부의 반대에 부닥쳐 청나라정부가 서명을 거부하고, 유구문제에 대하여 향후 처리하기로 미루는 방식을 채택한다. 이렇게 하여 유구군도의 주권귀속문제는 결정되지 못하고 미뤄지면서, 일본의 유구에 대한 사실상의 병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조공체계가 와해되기 시작하다.

 

조공체계는 고대 동아시아국제질서의 기초였다. 그것은 종주국의 책봉과 번속국의 납공칭신을 기본전제로 한다. 동아시아조공체계중에서, 중국고대왕조는 핵심지위를 차지했다. 명청시기, 조공체계는 전성기에 이르고, 만청시기부터 쇠락하게 된다. 명청에 조공을 바치던 중요구성원인 유구왕국이 일본에 병합되면서 이 체제에 큰 타격을 주게 된다.

 

1868년이후, 일본은 메이지유신을 시작하여 '탈아입구(脫亞入歐)'의 구호하에 '문명개화' '치산흥업' '부국강병'등의 수단으로 점차 자본주의국가로 성장한다. 동시에 신속히 대외침략확장의 길로 들어선다. 유구가 병합된 것은 근대일본의 군국주의침략확장의 결과이다. 유구가 병합되는 것과 더불어 동아시아의 조공체계는 와해되기 시작한다. 동아시아국제질서에 여러 변화가 발생하게 된 것이다.

 

아편전쟁이후, 서방열강과 일본군국주의의 침략으로 중국은 점차 반식민지반봉건사회로 전락하고, 청나라의 국력은 급격히 쇠락하며, 통치는 위기에 빠진다. 동아시아에서의 지위가 급격히 하락하면서, 이미 조공체계를 유지할 힘이 없어졌다. 전통적인 번속국들은 하나둘 서방열강과 일본제국주의의 통치하에 들어가게 된다. 유구의 일본병합사건에서 청정부가 아무 것도 하지 않은 것은 청정부의 외교가 얼마나 연약한지를 보여주면서, 객관적으로 제국주의열강의 청나라번속국에 대한 병합을 종용한 셈이 된다. 1895년 청일전쟁에서 패배한 후, 청정부는 일본과 상권욕국(喪權辱國), 할지배관(割地賠款)의 시모노세키조약(馬關條約)을 체결할 수 밖에 없었다. 이는 조공체계의 최종적인 와해를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