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역사인물-시대별/역사인물 (태평천국)

나대강(羅大綱): 태평천국의 일류전략가, 그의 3가지 계책을 채택했더라면....

by 중은우시 2018. 12. 5.

글: 종횡역사(縱橫歷史)





1864년 6월, 상제가 천병천장을 보내주어서 '주요(誅妖)'할 것이라고 믿어 의심치 않던 홍수전(洪秀全)은 태의(太醫)의 건의를 묵살하고, 계속 '첨로(甜露, 잡초)'를 먹고, 약물을 일체 먹지 않다가 사망하고 만다. 7월, 증국전(曾國荃)의 길자영(吉字營) 휘하의 대장 이신전(李臣典), 소사부(蕭泗孚), 주홍장(朱洪章)등은 병력을 이끌고 태평문(太平門)을 깨부수고 각로의 대군이 밀려 들어왔서, 천경(天京)이 함락된다. 천경의 함락은 14년에 걸친 태평천국운동의 실패를 의미하고, 목숨이 간당간당하던 청왕조는 다시 50년간 목숨을 연장하게 된다.


한때 태평천국은 대강남북을 석권하며, 팔기, 녹영, 상군을 궤멸시켰으며 하마터면 청나라를 역사의 묘소에 묻어버릴 뻔했다. 그러나, 태평천국은 결국 실패하고 만다. 실패의 원인은 역사학계에 논쟁이 끊이지 않는 주제이다. 소수인원으로 북벌한 것이라든지, 천경사변이라든지, 홍수전이 아무 일도 하지 않은 것이라든지, 배상제교의 극단적인 낙후된 사상이라든지 등등이 모두 패망이 요소이다. 그러나, 한가지 중요한 원인이 있다. 홍수전, 양수청이 한 천재전략가의 건의를 받아들이지 않은 것이다. 그리하여 청나라조정은 재난을 피할 수 있었고, 태평천국에게는 액운이 닥친다.


중국역사상 창업한 제왕의 곁에는 항상 모사가 있고, 뛰어난 전략가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성공을 거두기 어렵다. 풀뿌리출신의 유방은 무뢰배이고, 먹고 놀기를 좋아하며 군사능력도 보통이어서 항상 초패왕 항우에게 얻어터졌고, 특히 '팽성지전'에서는 유방이 56만의 대군이 거의 전멸한다. 그러나, 유방이 최종적으로 항우를 이기고 대한왕조를 건립할 수 있었다. 그 원인을 따져보면 대모사 장량의 '결승어천리지외(決勝於千里之外)"의 능력 덕분이다. 그외 반대로 항우의 유일한 모사인 범증은 버림받고 기용되지 못한다. 여러번 유방을 놓아주어, 결국 해하에서 자결하며 끝난다.


대명의 개국황제 주원장은 사상 출신이 가장 미천한 황제이다. 빈농출신에 소를 기른 적이 있고, 중도 되었으며, 구걸도 했다. 다만 유라시아대륙을 종횡하고, 슬라브-아랍연합군을 일패도지하게 만든 몽골철기도 그에 의하여 초원으로 쫓겨간다. 그외에 그는 진우량, 장사성, 명옥진, 방국진같은 할거세력을 소멸시킨다. 주원장이 이렇게 대단할 수 있었던 것은 자연히 유백온, 주승과 같은 전략가들의 전략방안이 있었기 때문이다.


청말에, 홍수전은 여러번 과거시험에 실패한데 불만을 품고, 배상제교를 창건한다. 그는 고대영웅호걸을 본받아, 청왕조와 중원을 다투려고 한다. 창업초기, 수석전락갸는 풍운산이다. 만일 풍운산이 죽어라 일하고 선전기획하지 않았더라면, 홍수전의 성공은 없었을 것이다. 유감스럽게도 남왕 풍운산은 전주 사의도대전에서 중상을 입어 전사한다. 이는 태평천국운동의 최대 손실이다. 다만 태평천국에는 또 한명의 전략가가 있었다. 천지회(天地會) 출신으로 배상제교가입을 거절한 나대강이다. 그는 작전에 용맹하여 대군의 선봉에 서서 길을 열 수 있을 뿐아니라, 모략도 뛰어났다. 일찌기 홍수전, 양수청에게 3가지 '청요(淸妖)'를 소멸시킬 계책을 건의한다. 그러나 아쉽게도 거절당한다. 역사경험과 이후 태평천국운동의 발전궤적을 보면, 이 3가지 묘책은 상당히 뛰어나다. 만일 어느 하나만이라도 채택했더라면, 아마 태평천국은 역습에 성공하고, 청나라는 일찌감치 역사의 분묘에 들어갔을 것이다. 신해혁명이 발발하기를 기다리기도 전에.


제1조: 전력을 다하여 부대를 이끌고 북벌한다. 먼저 하남을 점령하고, 이후 연경을 친다.


1853년 5월, 청왕조의 통치를 뒤엎기 위하여, 그리고 청군의 남하를 견제하여 서정군(西征軍)의 행동을 엄호하기 위하여, 동왕 양수청은 임봉상, 이개방, 길문원, 주석곤으로 하여금 2만의 광서노병을 이끌고 북벌하게 한다. "샛길로 연경까지 진격하라. 성을 빼앗거나 땅을 차지하는데 연연하여 시간을 끌지 말고." 중원북벌, 구축달로는 잘못된 결정이 아니다. 그러나 2만의 광서노병은 확실히 너무 적다. 청왕조를 무너뜨리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 이때, 나대강은 홍수전, 양수청에게 1가지 묘책을 낸다: '북방을 도모하려면, 반드시 먼저 하남을 평정해야 합니다. 대가(大駕)를 하남에 주둔시키고, 군대가 황하를 건너게 해야 합니다." 즉, 북벌은 당연히 전군이 출동해야 한다. 먼저 하남의 성회 개봉을 차지하여 중원의 심장부를 차지한 후, 홍수전이 개봉으로 옮겨가고, 계획을 세워 대군이 집결하면, 부대가 황하를 건너 직접 북경으로 향하게 한다. 그리하여 함풍제를 만주로 쫓아버리는 것이다. 나중에 임봉상이 북벌때 보인 실적에 비추어 보면, 만일 북벌군의 수량이 조금 더 많고, 후방물자조달이 제대로 이루어졌다면 아마도 함풍제를 쫓아낼 수 있었을 것이다. 이렇게 말할 수 있다. 나대강의 묘계는 확실히 뛰어나고, 그의 말대로 했다면 북벌은 성공했을 것이다.


제2조: 동남구성을 평정하고, 삼로로 출병하여, 먼저 산동, 동관을 점령하고 다시 힘을 합쳐 연경을 취한다.


태평군의 병력이 감소한다는 객관적인 현실에 비추어, 나대강은 병력을 나누어 북벌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보았다. 홍수전, 양수청이 병력을직접 이끌고 전략을 다해서 북벌하거나, 아니면 아예 북벌하지 않아야 한다. 먼저 동남구성을 평정한 후에 다시 노려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먼저 남구성을 먼저 평정하여, 안으로 걱정거리가 없게 만든 다음에 3로로 군대를 내보내 하나는 상초(相楚)로 다른 하나는 한중(漢中)으로 내보내 험양으로 진격하고, 서주,양주로 산좌(山左)석권하고, 다시 산우(山右)로 나간다. 부대가 만난 다음 연도를 공격한다." 이것도 뛰어난 계책이다. 알아야 할 것은 제갈량과 유비의 '융중대'때 이렇게 말한 바 있다: "천하에 변고가 있으면 1장수를 보내어 형주에서 나와 완, 락을 도모하고, 장군은 스스로 익주에서 한중으로 나가 관중으로 직진한다. 그러면 천하를 평정할 수 있고, 한실이 부흥할 수 있다." 나대강의 계책은 융중대롸 비슷하지만 훨씬 더 실무적이다. 어쨌든 동로군이 서주에서 산동을 공격하여, 직접 북경을 위협한다. 그외에 서달, 상우춘이 25만대군을 이끌고 북벌했듯이 먼저 하남을 취하고, 그 후에 산동, 동관을 공격한다. 그 후에 부대를 지휘하여 황하를 건넌다. 원순제는 바로 초원으로 도망쳤다. 이렇게 말할 수 있다. 나대강의 이 계책은 '서상북벌'의 업그레이드버전 혹은 개량버전이라고 말할 수 있다.


제3조: 방대한 수군역량을 조직하여, 제강권(制江權)을 장악하고, 남방을 점령한 후 다시 북벌한다.


나대강이 비록 대단했지만, 어쨌든 소조귀(蕭朝貴)의 사람이다. 서왕 소조귀가 죽은 후, 천지회 출신인 그는 아무리 해도 홍수전과 양수청을 만날 수 없었다. 그래서, 홍수전, 양수청은 직접 임봉상, 이개방으로 하여금 2만여명을 이끌고 북벌하게 하고, 나대강의 건의는 무시했다. 이에 대하여, 나대강은 다시 한 가지 건의를 한다. 즉 방대한 수군역량을 조직하여, 장강의 통제권을 장악하라는 것이다. 그리하여 남방근거지를 공고히 하고, 시기를 기다려 북벌하라는 것이다. "이미 남경에 도읍을 정하였으니, 반드시 전선을 많이 만들고, 수군을 조련하여야 합니다. 전함이 건조되기 전에 먼저 목선으로 강을 막고, 장강의 수상우세를 선점해야 합니다." 나대강은 확실히 안목이 있다. 알아야 할 것은 하류가 종횡하는 강남수향에서 전투를 하려면, 강력한 수군역량이 받쳐주지 않으면 제강권을 장악하기 어렵다. 제강권을 잃으면, 물자조달에 큰 영향을 받게 된다. 강을 따라 서 있는 주요 전략요충지를 지켜낼 수가 없다. 이는 직접적으로 태평천국의 생사존망에 관련된다. 그러나, 홍수전, 양수청은 그의 의견을 그다지 중시하지 않는다. 민선을 기초로 구축된 태평군의 수군역량은 상군의 수군에 상대가 되지 않았다. 수동적으로 수비하는 것 이외에는 별 도리가 없었다. 만일 태평군이 강대한 수군을 갖추었다면, 구강, 안경등지가 상군의 '귀각(龜殼)'전술로 탄환과 양식이 끊어져서 함락당하는 일은 없었을 것이다. 그외에 만일 성공적으로 상군의 수군을 제압하거나 소멸시킬 수 있었다면 상군의 육군도 문제되지 않았을 것이고, 청나라는 위험했을 것이다.


유감스럽게도, 나대강의 3가지 묘계는 모조리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는 이렇게 소리쳤다: "천하가 아직 안정되지 않았는데, 어찌 이곳에 안주한단 말인가. 그래서 오래갈 수 있겠는가? 우리는 하나도 살아남지 못하겠구나." 이후의 사실이 증명한다. 나대강이 맞았다. 임봉상이 적은 인원으로 북벌하다가 연진, 고당 두 곳에서 전군이 몰살당한다. 수군이 없다보니, 태평천국은 계속 피동적으로 될 수밖에 없었고, 결국은 '곤사(困死)'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