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역사인물-시대별/역사인물 (공통)

중국고대의 진정한 "사대미인"

by 중은우시 2008. 7. 18.

글: 월초(越楚)

 

전통적인 의미에서의 중국고대 "사대미녀"라면 서시, 왕소군, 초선, 양귀비이다. 이들이 민간에서 인기가 많은 원인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특수한 정치적인 배경이다; 서시는 몸을 던져 월나라를 도와 오나라를 망하게 하였다, 왕소군은 치욕을 참고 북으로 가서 '화친'을 했다; 초선은 미색으로 동탁과 여포의 사이를 이간질했다; 양귀비는 '안사의 난'을 불러왔다; 다른 하나는 세상 사람들이 안타깝게 여기고 동정하는 과정에서 그들에 관한 각종 문학작품이 천고에 끊어지지 않고 이어져 왔고, "침어낙안, 폐월수화(魚落雁, 閉月羞花)"는 자연스럽게 고대미녀의 대명사가 되었다. 그리하여, 고대의 사대미녀는 인문의 짐을 더 많이 짊어지게 된 것이다.

 

사실, "침어(魚)"의 원형은 서시가 아니라, 서시와 동시대에 살았던 모장(毛)이 그녀보다 더 완전무결하였다; 왕소군은 한나라궁중의 보통미녀였고, 궁중에서 군계일학임에도 황제가 내버려두었을 가능성은 거의 없다; 초선은 원래 존재하지 않는 인물이고 허구의 문학인물일 뿐이다; 양귀비는 고대의 가무예술이고, 그녀의 용모는 대체로 북방오랑캐의 혈통을 이은 당나라 이씨황실사람들의 심미관에는 부합했을지 모르겠다. 중국고대의 진정한 "사대미녀"를 뽑는다면 다른 사람들이 더욱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그렇다면, 도대체 누가 중국고대의 진정한 "사대미녀"일까?

 

필자의 생각으로는 사대미녀의 명단은 다음과 같다: 모장毛), 하희(夏姬), 이조아(李祖娥), 장려화(張麗華).

 

첫째, 모장毛)

 

필자의 생각으로 춘추말기의 모장이야말로 중국고대, 최소한 진나라이전시기의 "제일미녀"라고 할 것이다. 모장은 역사서에 별도로 기록이 남아있지는 않다. 그저 그녀가 춘추말기 일대패주인 월왕구첩이 사랑한 여인이라는 것이고, 개략 서시, 정단(鄭旦)과 나이가 비슷하다는 정도이다. 그러나, 우리는 후인들의 그녀에 대한 찬사중에서 그녀가 사람들의 마음 속에서 아름다움의 화신이자 상징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모장은 "침어"의 원형이었다. 침어낙안이라는 말은 <<장자. 제물론>>에 나오는 "모장, 여희는 사람들 중에서 아름다운 여인들이다. 그렇지만, 물고기들이 보면 물 속 깊숙이 달아나 버리고, 새들이 보면 하늘 높이 날아가 버린다, 사슴고라니가 보면 뭉쳐서 달아난다" 장자의 원래 의미는 모장, 여희와 같이 공인된 절대미녀라 하더라도, 물고기나 새들은 아름답다고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경국지색을 마주하더라도 그들은 다른 사람들을 만난 것과 같이 놀라서 물속으로 깊이 도망치거나, 하늘 높이 날아가버린다는 것이다. 장자는 이럿을 가지고 천지만물의 제일(齊一)을 설명했다. 나중에 남조의 시인인 송지문(宋之問)이 시를 통해서, "조경인송라, 어외침하화(鳥驚人松蘿, 魚畏荷花)"라고 적었고, 세상에는 "침어낙안"을 가지고 여인의 아름다운 모습을 형용하게 된다. 그러므로, 원래의 "침어"는 "모장"을 가리키는 말이었다.

 

후세 사람들이 미녀를 찬송하면서 동시에 모장과 서시가 나타나는 경우에 대부분은 모장을 먼저 언급하고, 서시를 뒤에 언급했다. <<한비자.현학>>에서는 "모장과 서시의 아름다움은..."이라는 문구가 나오고, <<관자.소칭>>, <<회남자>>등에서 모두 "모장, 서시는 천하의 미인이다"라는 내용이 나온다. 이로써 볼 때, 모장은 항상 서시보다 앞에 놓였다. 그러나, 맨 앞에서 설명한 이유로 모장은 점차 사람들에게 잊혀지고, 서시가 미인의 상징으로 되었고, 고대 사대미녀의 우두머리로 자리하게 된 것이다.

 

둘째, 하희(夏姬)

 

두번째 인물은 춘추시대의 제일 염부(艶婦)를 꼽아야 할 것이다. 고대 제일의 '대중의 애인'이라고 할 수 있는 하희이다. 정목공(鄭穆公)의 딸인 하희는 어려서부터 살구같은 얼굴과 도화같은 뺨, 누에같은 눈썹과 봉황의 눈을 타고 났다. 자란 후에는 더욱 몸매가 봄날의 버드나무같고, 걸음걸이는 연화꽃이 피어나는 것같았다. "여희(驪姬)"와 "식규(息)"의 아름다움을 겸비했다. 게다가 "달기(己)"와 "포사(褒)"의 호미(狐媚)를 겸했으니, 얼마나 많은 귀공자들을 죽음으로 몰고갔는지 알 수 없는 인간 우물(尤物)이다. 후세에는 그녀를 "일대요희(一代妖姬)"라 부른다. 

 

전해지는 바에 의하면 하희가 비녀를 꽂을 나이가 되었을 때(15살), 일찌기 몸이 거대한 이인과 잠자리를 같이 한 적이 있고, 반로환동, 청춘영주(靑春永駐, 청춘이 영원히 머물게 하다)의 채양보음술을 익혔다고 한다. 그리하여, 아름다움으로 사방에 유명하면서도, 명성이 좋지는 않았다. 집안에서는 할 수 없이 그녀를 멀리 진(陳)나라의 하어숙(夏御叔)에게 시집보내어 그의 처가 된다. 하희라는 이름은 여기서 비롯된 것이다. 하어숙은 장년의 나이로 죽으니, 어떤 사람은 하희의 '채양보음술'에 당했다고 한다. 과부가 된 하희는 사십여세에 이르기까지, 용모가 어렸고, 피부가 고와서 소녀와 같았다고 한다. 역사적으로 이 절대염부는 확실히 독특한 매력이 있었던 듯하다. 여러 국군, 사대부들이 그녀의 치마폭에 쓰러졌다. 역사서에는 "공후들이 서로 다투었으며, 그녀에게 미혹되어 뜻을 잃지 않은 자가 없었다" 그녀는 일찌기 3번 왕후, 7번 부인이 된다. 역사에 전무후무하다. 춘추시대의 몇개의 국가가 망한 것은 모두 그녀와 관련이 있다.

 

셋째, 이조아(李祖娥)

 

이조아는 북제(北齊) 문선제(文宣帝) 고양(高洋)의 황후였다. <<북제서. 문선이후전>>에 의하면, 이조아는 "용모와 덕이 아주 아름다웠다"고 되어 있다. 청나라때 아호일사의 <<노호담역대여인기>>에서는 "고후 이조아는 수혜(秀慧)하고 절염(絶艶)하였다"고 적으며, 이조아를 중국역사상의 '오대미녀'의 하나로 꼽았다. 아호일사는 이조아가 "불행하게 난세에 태어나, 게다가 고씨라는 예의를 모르는 집안에 시집을 가서, 치욕을 당하고, 결국 옥쇄화잔(玉碎花殘)에 이른다"고 적었다. 그런데, 후세에는 이로 인하여 그녀의 아름다움은 거의 잊혀진다. 사실 이조아는 "추파선래, 신광동인(秋波善, 神光動人)"의 여인이며, '천고에 다시 없는 아름다운 여인'이다.

 

역사상 문선제 고양은 유명한 성학대광이다. 그는 채찍으로 비빈을 때리는 것을 즐겼다. 심지어 여러 사람들 앞에서 비빈을 죽여버리기도 했다. 단지 이조아만이 고양의 대우와 존중을 받았다. 이로써 볼 때, 고양의 마음 속에 이조아는 다른 사람이 대체할 수 없는 절대가인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고양이 죽은 후, 그의 아들 고은(高殷)이 즉위하며, 이조아는 태후가 된다. 오래지 않아, 고은은 폐위되고, 고양의 동생 고연(高演)이 황제가 된다. 고연이 일찍 죽는 바람에 무성제 고담(高湛, 고양의 또 다른 동생)이 황위를 계승한다. 고담은 이 형수의 미모를 오랫동안 탐냈었다. 즉위후에 이조아를 핍박하여 그녀를 임신시킨다. 이조아는 딸을 하나 낳았는데, 바로 죽이고 기르지 않았다. 고담은 화가나서 바로 이조아의 아들을 죽여버리고, 이조아의 의복을 발가벗긴 후에 곤봉으로 마구 때린다. 그리고는 그녀를 묘생니사에 보내어 여승이 되게 한다. 북제가 멸망한 후, 그녀는 포로로 잡혀 관중의 장안으로 보내어진다. 아마도 이조아의 불행한 처지로 인하여, 그녀의 '천고의 다시없는 아름다운(橫絶千古之麗)' 미모는 조금 옅어질 수 있게 된다.

 

넷째, 장려화(張麗華)

 

마지막으로 장려화이다. 그녀는 진후주(陳後主) 진숙보(陳叔寶)의 귀비였다. 세상사람들은 "인간항아(人間娥)"라고 불리운다.

 

역사의 기록에 의하면, 장려화는 단정하고 아름다우며 우아하여 마치 선녀와 같았다. "머리카락의 길이가 칠척이며, 빛이 나서 비춰볼 만했다. 성격은 재빠르고 똑똑했으며, 신채(神采)가 있었다" 그녀가 돌아보거나 쳐다볼 때는 더욱 빛이 나는 듯했다. 진후주는 정신을 다 빼앗겼다. <<연화기>>의 기록에 따르면, 장려화가 거주하는 결기각(結綺閣)의 별칭은 "계궁(桂宮)"이었는데, 진숙보는 "장려화에게 하얀 토끼를 기르게 하고, 장려화는 항상 흰 옷을 입고...때때로 그 가운데를 걷게 하여 월궁이라고 불렀다" 진숙보가 매번 연회를 베풀때면, "장려화를 장항아라고 불렀다" 아마도 진숙보의 눈에는 이 장려화가 달에서 내려온 항아선자로 보였는가보다. 진숙보의 유명한 <<옥수후정화(玉樹後庭花)>>는 장려화를 찬미하는 것이다. 수나라군대가 진나라를 멸망시킬 때, 오랫동안 장려화의 미모를 흠모해온 양광은 명을 내려 이 인간항아를 죽이지 못하게 한다. 그러나, 당시 수나라군의 원수장사를 맡았던 고영은 '예전에 태공이 얼굴을 가리고 달기를 참했는데, 어찌 오늘 여화를 남겨둘 수 있단 말입니까"라고 하였다. 그리고 장려화를 청계에서 참한다. 이것때문에 나중에 고영은 살신지화를 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