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모함11 중국의 환도(環島)군사훈련에서 드러난 문제점은...? 글: 심주(沈舟) 2023년 8월 10일, 중국은 환도(環島)군사훈련이 종료되었다고 선언했다. 2022년 8월과 비교하면 두 가지 변화가 있었다. 첫째는 산둥호(山東號) 항공모함이 원거리항해훈련을 했다는 것이고, 둘째는 미사일발사를 취소했다는 것이다. 중국의 이번에 미사일을 발사하지 않은 것은 아마도 정치적 영향이 너무나 나빠질 것을 우려하였을 수도 있고, 또한 산둥호항모와 관련이 있을 수도 있다. 만일 중국의 다시 한번 대만동부의 미사일시험발사구역을 획정한다면, 아마도 이 구역에 위치하고 있던 산둥호 혹은 다른 중국의 전함을 실수로 맞출 수도 있기 때문이다. 만일 그런 일이 발생한다면 중국의 로켓군은 곤란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미사일 발사하든 말든 중국해군은 어쨌든 곤란하다. 산둥호 항공모함이 중국의.. 2023. 4. 11. 중국의 군사력이 세계2위로 올라섰을까? (상) 글: 심주(沈舟)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에서 크게 원기를 손상당하면서, 세계군사력2위의 자리가 흔들리고 있으며, 랭킹3위인 중국이 군사력에서 세계 2위의 자리를 노리고 있다. 그렇다면, 중국군대는 러시아군대보다 강하다고 할 수 있을까? 중국과 러시아군대가 사용하는 장비의 수량에도 각자 차이가 있고, 품질과 성능도 어떤 방면에서 각각 차이가 있다. 실전능력을 비교하는 것은 더욱 어렵다. 러시아군은 육상위주의 전투를 진행하고 있고, 중국은 바다를 건너는 육해합동작전을 도모하고 있어, 전체적인 작전능력의 요구사항도 명백히 다르다. 전략핵무기 러시아의 재래식 무장역량은 우크라이나에서 심각하게 소모되었다. 그러나 핵무장역량은 영향을 받지 않았다. 1. 러시아의 핵무기 러시아의 핵탄두보유량은 여전히 6,000개이고,.. 2022. 9. 23. 이것이 푸젠호 항공모함의 최대 약점이다 글: 심주(沈舟) 중국이 세번째 항공모함을 진수한 것이 적지 않은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전자기식 캐터펄트를 장착하여 미국 최신항공모항 제럴드포드호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푸젠호 항공모함의 전자기식 캐터펄트가 정말 쓸모있을지를 검증하려면 상당한 수량의 함재기로 이착륙시험을 해보아야 한다. 이것이야말로 중국해군항공병에게는 아주 난감한 일이다. 중국이 상당한 규모의 함재기를 보유하기 전에, 전자기식 캐터펄트를 얘기하는 건 너무 이른 듯하다. 중국의 항공모함은 함재전투기가 부족할 뿐아니라, 공중경보기, 전자전기, 대잠기와 운송기도 부족하다. 모자란 것이 캐터펄트만이 아니다. 푸젠호항공모함은 J-15B를 사출할 수 있을까? Su-33을 모방한 J-15는 중국이 가진 유일한 함재기모델이다.. 2022. 6. 28. 중국의 "대양해군(藍色海軍)" 건설의 3가지 난제 글: 왕혁(王赫) 2022년 6월 17일, 중국의 세번째 항공모함 '푸젠호(福建號)'가 진수했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완전한 자주설계로 건조한 최초의 캐터펄터형 항공모함이라고 하며, 평직통장(平直通長)의 비행갑판을 채용하고, 전자기식 캐퍼펄터와 어레스팅기어를 설치했으며, 만재배수량은 8만여톤이다. 중국은 항공모함에서 '3단계' 계획을 가지고 있다. 1단계는 '바랴크호(라오닝함)'을 이어 건조하는 것이고, 2단계는 재래식동력의 캐퍼펄터형 항공모함을 건조하는 것이며, 3단계는 핵추진동력의 항공모함을 건조하는 것이다. 푸젠호는 '제2단계'를 완성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다만, 문제는 중국이 왜 이렇게 항공모함을 발전시키느냐는 것이다. 중국이 항공모함을 대거 발전시키는 직접적인 목표는 해군의 전환이다. '대양.. 2022. 6. 19. 중국의 세번째 항공모함은 언제 진수할 수 있을까 글: 왕혁(王赫) 6월 3일, 중국의 세번째 항공모함이 진수식을 갖지 못하여, 많은 사람들의 예상을 깨버렸다. 다만, 중공 20대가 곧 개최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시진핑당국은 ‘정치적업적’이 필요하여, 도저히 극복할 수 없는 기술적인 중대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한, 세번째 항공모함은 20대전에 진수하게 될 가능성이 아주 높다고 할 수 있다. 세번째 항공모함에서 가장 주목받는 것은 전자기식 사출기(캐터펄터)이다. 첫번째 항공모함과 두번째 항공모함은 모두 스키점프방식이다. 세번째 항공모함은 이미 성숙된 기술인 증기식 사출기를 건너뛰고, 직접 전자기식 사출기를 채택했다. 그리고 전자기식 사출기를 채택한 항공모함은 현재까지 단지 미국의 가장 선진적인 포드급 항공모함뿐이다. 포드급은 비록 수년간의 개선을 거쳤지만,.. 2022. 6. 10. "랴오닝호": 난감한 항공모함... 글: 심주(沈舟) 2021년말, 중국의 랴오닝호 항공모함이 잠시 출항했다가 되돌아온 후, 중국의 당매체인 CCTV와 신화사는 스스로 랴오닝호가 일본의 이즈모호 헬기호위함에 추적당했다는 영상과 사진을 공개했다. 이는 J-15 함재기의 곤경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다. 이즈모호는 랴오닝호에 얼마나 가까이 접근했는가? 랴오닝호는 12월 9일 출항하여 12월 30일 칭다오로 돌아왔다. 그동안 중국은 시종 아무런 소식도 내보내지 않았다. 랴오닝호가 되돌아온 후 중국의 당매체는 비로소 보도하기 시작한다. 신화사가 보도한 사진에서 이즈모호가 랴오닝호 항공모함에 아주 가깝게 접근했다는 것을 알고 있다. 게다가 중국의 054A형 호위함보다 앞서 가고 있다. 자세히 살펴보지 않으면 중국항공모함 전단의 일원이라고 여길 것이다.. 2022. 1. 4.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