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무령왕14

중국역사상의 태상황(太上皇) (1) 글: 장명양(張明揚) 가경5년(1800년), 조익(趙翼)은 십년의 공을 들여 를 최종적으로 완성한다. 이 청나라시기 가장 위대한 사론(史論) 저작에는 필자가 보기에 아주 특별한 필기(筆記)가 포함되어 있다: . 이는 시평을 담은 '영사사학(影射史學)' 필기이다. 바로 를 완성하기 전해(가경4년)에 중국역사상 가장 유명하고, 가장 마지막인 "태상황" 건륭제(乾隆帝)가 붕어한다. 그리고 조익은 글에서 역사상 14명의 "태상황"을 살펴본 후, 건륭제를 역사상 '가장 위대하고, 가장 원만한' 태상황이며, '정말 유사이래 본 적이 없으니, 어찌 성세라 아니할 수 있으랴'라고 치켜세운다. 건륭제가 이런 엄청난 평가를 받을만한지 아닌지는 뒤에 다시 얘기해보기로 하자. 다만 필자에 있어서 조익의 이 글에서 가장 흥미없.. 2023. 4. 30.
장평지전(長平之戰) 배후의 역사의문점 글: 서병박(徐兵博) 전국역사에 중요한 일전인 "장평지전"은 역대이래로 사람들의 관심을 끌었다. 이 전투는 진나라의 명장이자, 후세인들이 전신(戰神)으로 떠받드는 백기가 지휘한 진,조 양국의 전투이다. 경과는 대체로 이러하다: 전국시대 말기, 진나라가 한(韓)나라의 상당(上黨)을 .. 2018. 12. 2.
아방궁의 역사진상(4): 고대궁전건축의 모형설계법 글: 진경원(陳景元) 목조구조의 궁전건축은 철거할 수도 있고, 불태울 수도 있고, 새로 지을 수도 있다. 개조하는 것은 새로 짓는 것보다 속도가 훨씬 빠르다. 새로운 건축배치, 새로운 건축구조, 새로운 건축형식이 계속하여 나타난다. 새로운 건축재료, 새로운 건축기술도 새 건축물에서.. 2018. 2. 23.
석가장(石家莊): 한 도시의 과거와 현재 글: 양용(梁勇) 석가장, 이 이름에는 작은 마을에서 조금씩 발전하여 도시가 된 역사가 그대로 새겨져 있다. 이 도시는 비록 "기차가 끌어온 도시"라고 불리지만, 사람들은 이 도시의 역사적인 뿌리를 찾으려 노력했다. 근대 철로가 발전하면서, 석가장이라는 작은 마을은 화북지방의 천년.. 2018. 2. 19.
진시황릉의 허실(10): 여산북록에는 진시황이 묻혀 있지 않다. 글: 진경원(陳景元) 숙후가 사망하고, 유명한 조무령왕이 즉위한다. 그후 얼마 지나지 않아 상산에 자신의 능묘를 '예수'하기 시작한다. <사기.조세가>의 기록에 따르면, 조무령왕은 "3년(기원전323년)부터 능묘를 만들기 시작했다." <사기.집해>를 보면 알 수 있다. 이 능묘의 위치.. 2018. 2. 7.
진시황릉의 허실(8): 비불발상(秘不發喪)은 조건이 필요하다. 글: 진경원(陳景元) 사마천의 <사기>에서는 "진시황응 여산에 묻었다(葬始皇驪山)"고 기록하고 있다. 또한 "황제가 붕어하니, 교산에 묻었다(黃帝崩, 葬橋山)"이라는 기록도 있다. 섬서성의 황제릉은 비록 매년 대형제사활동을 벌이지만, 사람들은 그 무덤의 진실성에 대하여 계속하여.. 2018. 2.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