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국옥새11

춘추양대기보(春秋兩大奇寶)중 하나인 수후지주(隨侯之珠)에 관한 문헌기록들... 글: 소가노대(蕭家老大) 춘추전국시대의 수(隨)나라에는 진귀한 보물이 하나 있었는데, "수후지주(隨侯之珠)"라 불렸다. 이것은 "화씨지벽(和氏之璧)과 더불어 춘추양대기보라 불렸다. 이 양대기보는 춘추전국시기에 여러번 언급된다. 예를 들어, '변화보박(卞和報璞)", "완벽귀조(完璧歸趙)"등의 고사이다. 그러나, 최초의 봉건왕조인 진나라가 멸망한 후, "수후지주"와 "화씨지벽"은 모두 사라진다. 이건 무슨 이유때문일까? 역사상 "수후지주"에 관한 문헌기록은 다수 존재한다. 에는 이런 말이 있다: "지금 어떤 사람이 여기에서, 수후지주를 가지고 천길 절벽에 있는 참새를 쏘는데 쓴다면 세상사람들은 반드시 비웃을 것이다. 왜 그런가? 중한 것을 써서 경한 것을 얻가 때문이다." 그 뜻은 중대한 것을 버려서 경미한.. 2022. 12. 29.
남송은 왜 남경(南京)이 아닌 항주(杭州)를 수도로 정했을까? 글: 흥체경(興替鏡) 남경과 항주에 관하여 누가 동남지구의 제1도시인지 문제는 여러차례의 논쟁이 있어왔다. 남경과 항주는 각각의 장점이 있다. 다만 총체적으로 보자면 남경의 역사감이 항주보다는 확실히 높다. 그래서 역대의 남방정권은 기본적으로 모두 남경을 수도로 삼아서 북방.. 2018. 12. 20.
진시황의 3개의 무가지보(無價之寶) 글: 독력견문(讀歷見聞) 중국역사상 무수한 기진이보가 나타났다. 대다수는 현재 행방불명이고,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로 남았다. 진시황은 육국을 병합하여 천하의 보물을 모조리 얻는다. 그 안에는 3건의 희세절품이 있었다. 그중 1개는 600년후에 실종되고, 그중 1개는 1500년후에 행방이 .. 2018. 2. 8.
수후지주(隨侯之珠) 행방의 수수께끼 글: 불감왕언(不敢枉言) "수후지주"는 춘추전국시대 수(隨)나라의 보물이다. 그것은 "화씨지벽(和氏之璧)"과 함께 나란히 춘추시대의 양대기보(兩大奇寶)이다. 이 두 개의 기보는 춘추전국시대에 여러번 언급된다. 예를 들면, "변화보박(卞和報璞)", "완벽귀조(完璧歸趙)" 등 역사이야기는 .. 2015. 2. 10.
중국의 관인은 어떻게 네모(方形)에서 둥글게(圓形) 바뀌었는가? 글: 염경생(閻京生) 인장은 기관, 조직 혹은 개인이 정식으로 날인하거나 감정하는 도구이다. 중국에서 인장(전각)은 일찌기 고도로 발달한 예술이었고, 서예, 회회, 시가와 더불어 4대 전통예술로 불리웠다. 중국고대 관청의 정식인장은 일찌기 모두 방형이었다. 그러나, 오늘날 중국은 .. 2014. 8. 26.
전국옥새(傳國玉璽)의 5가지 버전 글: 장유정(張柔情) <중외중대역사지미도고(제2집)>은 작자가 친히 역사유적지를 조사하고, 역사수수께끼를 고찰하며, 역사상의 현안들을 해석한 것을 기록했다. 예를 들어, 구천, 범려가 구금된 뇌옥이 엄성(淹城)에 있다든지, 촉신독도(蜀身毒道)의 조사기록, 진시황 전국옥새의 수.. 2014. 8.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