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창휘15 태평천국의 개명벽(改名癖) 글: 도단방(陶短房) 명나라말기 섬서의 농민의거를 보면, 최초의 두령들은 거의 모두 가명을 썼다. 무슨 점등자(點燈子), 부점니(不霑泥), 사탑천(射塌天), 혁리안(革裏眼)등 각양각색이었다. 그 이유를 따져보면, 이들이 비록 반란을 일으켰지만, 그들의 처자식은 여전히 고향에서 살아가고 있다. 성과 .. 2010. 11. 12. 태평천국과 객가(客家) 글: 도단방(陶短房) 인민영웅기념비의 한백옥부조(漢白玉浮雕)의 두번째 것이 바로 '금전기의(金田起義)"이다. 그 안에 그려진 것은 "금전(金田)의 각 민족군중이 떨쳐일어나 태평군의거에 참가했다"는 화면이다. 그러나, 실제로, 금전기의가 발발한 1850년에, 금전촌에는 소수민족은 한 집도 살고 있지 .. 2010. 9. 3. 동왕(東王) 양수청(楊秀淸) 글: 혁련발발(赫連勃勃) 1856년 9월 1일(함풍6년 8월 3일, 태평천국 병진 6년 7월 26일). 깊은 밤. 남경성. 동왕 양수청의 부저(府邸). 북왕 위창휘(韋昌輝)는 수하 3천여명을 이끌고 홍수전(洪秀全)의 밀명을 받아, 밤을 달려, 진성용(陳成瑢, 나중에 영왕이 되는 진옥성의 숙부)의 내응하에, "천경"의 남문으.. 2007. 4. 2.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