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치24

[역사추리] 여공(呂公)은 왜 딸을 유방(劉邦)에게 시집보냈을까? 글: 역사대작회(歷史大炸燴) 만일 역사서의 설명대로라면, 여공이 당시 처음 유방을 만났을 때, 딸을 유방에게 시집보내려고 했다. 주요 이유는 유방이 처음 만났을 때 좋은 인상을 주었기 때문이다. 사서의 기록에 따르면, 여공이라는 사람은 관상을 보는 재주가 있었다. 그래서 여공이 처음 유방을 만났을 때, 즉시 유방은 아주 귀한 인물이 될 것이고, 나중에 분명 황제가 될 것이라고 생각해 즉시 유방에게 자신의 딸을 시집보내려고 했다는 것이다. 이 일에 관하여, 사서에 확실하게 기록되어 있다. 에 따르면, 당시 여공이 유방에게 이런 이유를 댔다. 신소호상인(臣少好相人), 상인다의(相人多矣), 무여계상(無如季相), 원계자애(願季自愛), 신유식녀(臣有息女), 원위기추첩(願爲箕帚妾) 번역하자면, "저는 관상을 볼 줄.. 2023. 9. 19.
평민 유수(劉秀)는 황제에 오르면서 왜 "한(漢)"이라는 국호를 그대로 썼을까? 글: 심야요재(深夜聊齋) 한(漢)나라는 전후로 400년간 지속되는데, 둘로 나뉜다: 서한(西漢)과 동한(東漢). 나중의 북송(北宋), 남송(南宋)과는 달리, 서한과 동한의 사이는 끊어져 있다. 중간에 왕망(王莽)의 신(新)왕조가 있었다. 다만, 한동안 '신'왕조는 주류의 인정을 받지 못했다. 왜냐하면 왕망은 황위를 찬탈한 인물로 덕이 없다고 여겨져서, 왕조로 인정받기 어렵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신왕조의 중후기 당시의 사회 각계층에도 한왕조를 재건하려는 움직임은 있었다. 비교적 두드러진 것은 유씨종실(劉氏) 종실의 인물들 중에서 황제를 칭하는 자들이 나타났다는 것이다. 비록 그 중 대부분은 가짜이긴 하지만.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은 한무제의 증손자라고 하였고, 어떤 사람은 한성제의 아들이라고 하였.. 2020. 6. 11.
후공(侯公): 한나라 초기의 신비인물. 글: 천고명장영웅몽(千古名將英雄夢) 한신(韓信)이 제(齊)나라를 무너뜨리고, 팽월(彭越)이 전횡(田橫)을 격파하고, 영포(英布)가 회남(淮南)의 몇 개 현을 함락시킨 후, 초한(楚漢)의 대치는 마침내 마무리단계에 접어들었다. 항우(項羽)는 갈수록 더 힘들어 졌다. 이제 항우의 서초진영의 .. 2019. 3. 13.
저산자(褚蒜子): 3번의 임조청정, 6명의 황제...동진(東晋)의 장문인 글: 간감(看鑒) 여성(女性), 여권(女權)과 같은 주제는 항상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논쟁이 심하다. 세계각지의 여성들은 여전히 자신의 권력을 위하여 여러가지 반항과 투쟁을 벌이고 있다. 여성의 역량은 갈수록 중요해진다. 옛날에 여성은 부권(父權)과 부권(夫權)의 이중 압력하에, 자.. 2018. 11. 15.
여후(呂后)는 광견병으로 죽었는가? 글: 장계합(張繼合) 고대 중국에 3명의 국가통치권을 장악했던 여인이 있었다. 그녀들은 각각 여치(呂稚, 즉 여후), 무조(武曌, 즉 무측천)과 자희태후(慈禧太后, 서태후)이다. 생각해보면 바로 알 수 있다. 여인들도 남자들과 마찬가지로 권력에 대한 욕마이 있고, 일단 정점에 도달하면 전.. 2018. 11. 7.
유장(劉章): 감히 여후와 맞서싸우다 글: 두문자(杜文子) 유방이 죽은 후, 여후의 권력은 날이갈수록 커졌다. 한헤제가 붕어한 후, 한나라는 마침내 여치(呂稚, 여후의 이름)의 시대를 맞이한다. 여씨일족의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하여, 여후는 한편으로 여러 여씨를 후(侯)와 왕(王)으로 봉하고, 다른 한편으로, 여러 여씨여자.. 2018. 7.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