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역사사건/역사사건 (진)

진(秦)나라의 조상은 동이족(東夷族)인가?

by 중은우시 2023. 5. 25.

글: 장회통(張懷通), 권필성(權弼成)

 

진나라 조상의 기원을 탐색하게 된 계기

 

진인(秦人)의 기원(起源)에 관한 기록이 가장 먼저 나타난 것은 <사기.진본기>이다. <진본기>에는 주효왕(周孝王)의 말이 기록되어 있는데, "짐은 그들에게 영토를 내주어 부용국으로 삼고 진(秦)의 땅에 살게하여 영씨(嬴氏)의 제사를 잇게 한다. 그리하여 '진영(秦嬴)'이라 한다." 이는 늦어도 서주시기에, 혈연관계와 지연단위를 핵심요소로 하는 '영진(嬴秦)'이 이미 형성되어 있었다는 것이고, 이들이 우리가 통상적으로 말하는 '진인(秦人)'이다. 진나라 초기역사연대는 서주에서 춘추초기까지이다. 즉 기원전677년 진덕공(秦德公)이 옹(雍)에 거하기 이전이다.

 

사학계에서 진나라초기역사에 대한 연구는 주로 문헌자료상 진선공(秦先公)의 소재지역, 이주등 활동에 관한 기록에 근거한다. 민국시기에 이미 어떤 학자는 진인의 기원에 대해 관심을 가졌다. 다만, 모호한 문헌기록으로 인하여 일부 문제는 고증하기가 어려웠다. 나중에 고고학적 발견으로 사람들은 점차 진나라초기문화의 기본면모를 알 수 있게 되었다. 고고학자들은 실물자료를 기초로 한 고고학을 통하여, 물질자료와 문헌기록간에 교량을 놓았다. 이는 진인의 기원을 탐색하는 계기를 제공했다. 

 

진나라의 초기역사와 진문화의 초기형태는 관련이 깊다. 우세산(牛世山)은 이렇게 말한다: "진문화 특히 진양공이 나라를 세우기 이전의 서주시기의 진문화의 의미에 대한 인식을 심화시키고, 진나라와 주변의 고고학문화와의 관계를 비교함으로써, 진문화의 연원을 찾아내고, 다시 문헌기록과 결합시키면 진인기원에 대한 신뢰성있는 결론을 도출해낼 수 있을 것이다." 현재, 학계에서는 기본적으로 감숙성(甘肅省) 예현(禮縣) 대보자산(大堡子山)의 진공족묘(秦公族墓)를 진나라초기문화의 면모를 대표하는 전형적인 유물로 본다. 그리고 서수묘(西首墓), 굴지장(屈肢葬)과 요갱순구(腰坑殉狗)의 세 가지 요소를 중소형진묘를 판별하는 중요특징이 된다. 진인기원문제는 갈수록 많은 학자들의 관심을 받게 되었고, 서로 다른 몇 가지 견해가 나타난다.

 

진인기원에 대한 논쟁이 일어나다.

 

1930년대, 진인기원은 학계의 주목을 받는다. 전후로 진인은 '서부기원설'  '동부기원설' '동서공동구성설'등이 나타난다. 연구가 심화되면서, 학계는 초기진문화를 구성하는 복잡성에 대하여 충분한 인식을 갖게 되었다.다만, 문화의 다원성이 종족기원의 다양성을 직접적으로 말한다고 할 수는 없다. 진문화는 서로 다른 단계에서 여러 요소의 영향을 받았고, 그것이 전형적인 진문화요소로 체현된다. 즉 진인 족군의 선명한 특징이 된다. 사학계는 진인의 기원에 대하여 시공의 범위를 장기간으로 늘려서 논쟁이 일어났고, 그중에는 "서래설(西來說)"과 "동래설(東來說)"이 주요 견해이다.

 

"서래설"은 비교적 일찌감치 나타났다. 왕국유(王國維)가 <진도읍고(秦都邑考)>에서 "진나라의 조상은 융적(戎狄)에서 기원한다"고 하였는데,여기서 소위 "융(戎)"이라 함은 서방에 많이 살았다. 몽문통(蒙文通)은 신후(申侯)가 말한 "옛날 우리의 선조 여산(驪山)의 딸이, 융(戎)의 서헌(胥軒)의 처가 되어 중휼(中譎)을 낳았다"는 것에서 서헌과 여산의 딸은 모두 '융(戎)'이다. 즉, 진나라조상의 부모뻘은 모두 융적이었으며 서북지구에서 활동했고, 진인은 서방에서 왔다고 보았다. 웅철기(熊鐵基)는 '서래설'을 지지했는데, 중휼이 상나라말기에 이미 '서융(西戎)에서, 서수(西垂)를 지켰다."고 하였는데, 서주시기에 계속하여 서천했을 수는 없다는 이유에서였다. 그리고 일부학자들은 종교제의의식에서 착안하여, 진인은 말을 희생물로 올리며, 제사대상이 방대하고 복잡하여 위로는 상제(上帝)부터 아래로는 산천, 초목, 금수에 걸치고 제사풍속이 융적과 같다고 보았다.

 

"동래설"은 부사년(傅斯年)이 가장 먼저 제기했다. 그는 진인은 비록 나라를 서쪽에 세웠지만, 그의 족원(族源)은 동방이라고 보았다. 즉 상나라때 영성(嬴姓)의 동이(東夷)가 서쪽으로 이주한 것이라고 하였다. 위취현(衛聚賢), 황문필(黃文弼)등도 모두 이 견해를 지지했다. 서욱생(徐旭生)은 중국고대사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진인을 동이영성집단(東夷嬴姓集團)으로 분류했다.  '비자읍진(非子邑秦)'등은 모두 영성일족이 서천한 이후의 일이라는 것이다. 1980년대, 임검명(林劍鳴)은 계통적으로 진인, 동이, 상인(商人)의 특징을 비교하고, 토템숭배, 생업모델등의 방면에서 진인의 기원은 동방이라는 것을 논증했다. "동래설"을 지지하는 학자들은 진인이 서천한 노선을 설정해보기도 했고, 서천한 시간을 대체적으로 하상(夏商)교체기, 상말, 성왕시기, 서주중기효왕시기의 4개의 시점으로 보았다. 

 

"동래설"이 확인받다.

 

고고발굴에서 일찌감치 진인과 관련한 역사유물이 발견되었다. 1930년대, 소병기(蘇秉琦)가 쓴 <투계대구동구묘장(鬪鷄臺溝東區墓葬)>의 결론부분에서 이렇게 썼다: "그들이 만일 일찌기 중국화한 외족문화가 아니라면,  일찌기 이화(夷化)한 화하문화(華夏文化)이다". 비록 진묘라고 명확히 판별해내지는 못했지만, 소병기는 이미 이 묘장은 선진시기 화하족군의 문화요소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암시했다. 그후, 유위초(兪偉超)는 진문화묘장의 삼대 전형적인 요소를 제기한다: 산형대족거(鏟型袋足鬲), 굴지장과 동실묘(洞室墓). 이상의 특징은 선진시기 감숙,청해지구 고고학문화에서 두드러지고, 진인은 서방에서 기원했다는 견해와 호응된다.

 

1980년대이후, 고고학적 발견은 진인기원의 연구를 더욱 발전시킨다. 감숙성 감곡현(甘谷縣) 모가평(毛家坪) 유적지는 진문화의 연대상한을 서주중기까지 끌어올렸다. 유적지의 승문회도(繩紋灰陶)를 대표로 하는 A조 유적지는 주나라때의 진문화로 확인되었다. 조화성(趙化成)은 이렇게 추측했다: "서주시기 진인의 생활용품은 이미 주나라화했다. 원래의 문화가 현재의 이런 상황으로 변화한 것에는 반드시 과정이 있을 것이다. 이 과정의 시작은 자연히 늦어도 상나라말기에는 발생했을 것이다." 이들 자료는 초기 진인들을 탐색하는 단서가 되었다. 감숙성 예현 대보자산의 진묘에 대한 고고학적 발굴은 진나라 "공족(公族)"의 물질문화면모를 연구하는데 관건자료가 된다. 이들 묘장의 순인(殉人), 요갱순구등의 장례풍속은 '영진공족'을 대표로 하는 전형적인 진문화는 상문화의 일부요소를 승계하고 있다는 것이다. 2004년, 북경대학, 서북대학, 중국국가박물관, 감숙성문물고고연구소, 섬서성고고연구원이 공동으로 신청한 "초기진문화고고프로젝트"는 고고학적 조사, 발굴등을 통하여, 초기진문화의 중심분포구를 확정하고, 이를 근거로 초기진인의 활동범위를 획정했다. 2010년, 감숙성 청수현(淸水縣) 이애(李崖) 유적지에서 여러 개의 서주시기 진문화묘장을 발견한다. 일부 부장품은 상문화 풍격을 나타냈다. 특히 방순분당격(方脣分襠鬲), 대삼각문도궤(帶三角紋陶簋)등이 대표적이다. 이애 유적지는 진인 '동래설'에 중요한 증거를 제공했다.

 

청화간(淸華簡) <계년(係年)>의 기록에 따르면, "비동도어상합씨(飛東逃於商盍氏), 성왕벌상합(成王伐商盍), 살비(殺飛), 서천상합지민어주어(西遷商盍之民於邾圉), 이어노로지융(以御奴盧之戎), 시진선인(是秦先人)". 이우근(李宇勤)은 비렴(飛廉)이 삼감지란에 참여한 후 엄국(奄國)으로 도망쳤는데, 마침 엄국도 같은 영성(嬴姓)이었다. 비렴은 같은 성을 가진 부락으로 도망친 것이었다. 청화간에서는 주성왕이 명예회복시켜준 후 현지부족을 주로 서천(西遷)시켰다고 기록하고 있다. 어떤 학자는 진인은 바로 이때 서쪽으로 이주한 부족중 하나로 본다. 비록 진인서천의 구체적인 시간에 대하여는 아직도 논쟁이 남아 있지만, 진인의 기원이 동방이라는데 대하여는 이제 확정되었고, 더 이상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할 수 있다.

 

진인기원의 영향은 아주 심원하다

 

지금은 진인이 동방에서 기원했다는 결론에 대하여 다수의 학자들이 인정하고 있다. 진인의 기원과 이주는 대부분 도성의 변동을 단계적인 표지로 본다. 예를 들어, 비자(非子)가 "봉어진읍(封於秦邑)"하고, 장공(莊公)이 "거기고서견구(居其故西犬丘)"했다. 그 기원을 확인하려면, 더 나아가 초기진인의 활동궤적의 기초를 연구해야 한다. 그외에 지역의 고고학적 조사, 발굴을 통하여, 감숙, 섬서지구 선진시기의 여러 고고학문화의 기본면모를 충분히 인식해야 한다. 진인의 기원을 명확히 하는 것은 상주시기 진과 상, 주, 융등 서로 다른 족군과의 상호관계를 연구하는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진인기원의 탐색은 두 단계를 거쳤다. 전기는 주로 문헌을 중점으로 고찰하였다. 부사년, 왕국유등 학자들은 모두 <사기.진본기>를 기본으로 하여, 초기 진인의 기원과 발전의 궤적을 탐색했다; 중화인민공화국이 성립된 후에는 새로운 사학이론이 초기진인의 사회구조와 생산방식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1980년대이후, 고고학적인 새로운 발견과 고고학방법론이 진인기원문제연구에 큰 영향을 끼친다. 일련의 중요 유적지들이 발견되면서 진문화의 초기면모가 점차 드러나게 된다. 고고학자들은 이들 물질유적의 시공분포를 기초로 하여, 초기진인의 역사를 탐색하는 단서를 찾아낸다. 고고학적으로 '진문화'를 인식하면서, 진문화와 주변고고학문화와의 같은 점과 다른 점을 비교함녀서, 초기 진문화 내지 진인의 분포범위를 확정했다. 이 기초 위에서, 문화와 족속의 관계문제는 다음 단계에서 토론해야할 중요이슈가 된다.

 

진인기원은 진나라초기역사연구의 중요과제였다. 이 문제의 탐색은 지금까지 이미 백년가까이 진행되었다. 진인의 이미지도 단순히 몇 개의 문자기록으로만 남아 있다가 점차 유적지, 유물로 구성된 고고학적 발견으로 충실해진다. 진인은 상말주초에 서로 다른 문화요소의 영향을 받는다. 서주시기의 진묘에서는 상문화요소가 있어 초기에 상나라사람들과의 관계가 밀접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문헌에 기록된 진인이 상왕조시기에 활약했다는 것과도 부합한다. 진인은 선진시기 중화문명의 중요구성부분이다. 학계는 그 기원에 대한 탐색을 통해 우리가 중화문명의 형성과정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는 점에서 의미와 영향이 깊고 크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