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의 역사인물-개인별/역사인물 (제갈량)

제갈량은 왜 위연을 싫어했을까?

by 중은우시 2015. 2. 12.

글: 조단양(趙丹陽)

 

육출기산(六出祁山)하면서 영토는 조금도 얻지 못한 제갈량은 오장원에서 피로와 수치가 겹치면서, 병세가 침중했다. 그러나 그가 세상을 하직할 때, 장사(長史) 양의(楊儀), 장군 위연에게 여러가지로 해석가능한 정치적 유언을 남긴다. 이 유언은 양의가 보기에 자신이 비위, 강유와 함께 삼군을 통솔하여 한중으로 퇴각하라는 것이고, 위연이 보기에는 제갈량이 자신에게 병력을 이끌도록 묵인한 것이며 계속 독립적으로 북벌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그의 한 마디, "영연단후(令延斷後), 강유차지(姜維次之), 약연혹불종명(若延或不從命),군편자발(軍便自發)"의 군령은 원래 사이가 나쁜 양의, 위연 두 사람의 갈등을 격화시키고, 결국은 서로 싸우게 만든다. 마지막으로, 위연은 촉한 문관집단에 의하여 '모반'으로 몰려 마대에게 죽임을 당하게 된다. 양의도 얼마후 삭탈관직되고 분통을 터트리며 자진한다.

 

어떤 사람은 이를 통하여 이렇게 추측한다. 제갈량이 죽기 직전에 주도면밀하게 고려하지 못한 것이 아니라, 고의로 언사를 모호하게 하여, 두 호랑이른 서로 싸우게 만들어 자신이 지정한 후계자인 강유가 순조롭게 승계하는데 장애를 없앤 것이라고. 이런 견해는 비록 어느 정도 포풍착영(捕風捉影)의 의미가 있지만, 간접적으로 한 가지 사실을 반영한다: 제갈량은 위연을 아주 싫어했다. 그렇다면, 위연은 무슨 원인으로 시종 제갈량의 신임과 중용을 받지 못했던 것일까?

 

1. 위연본인이 사납고 말을 듣지 않으며(桀驁不馴), 동료들에게 오만했다(傲視同儕)

 

객관적으로 말하자면, 위연은 독당일면(獨當一面)의 대장으로 병졸을 대함에 의리가 있었다. 기본적으로 "상벌이 분명하고, 기율이 엄격하며, 좋은 일이든 힘든 일이든 같이 나누는" 이치를 잘 알았고, 그리하여 부하들이 그와 함께 생사를 넘나들 수 있었다. 이는 위연이 장군으로서 오랫동안 혁혁한 공로를 세워온 주요 원인이다. 다만 위언은 성격이 거칠고, 글을 좀 읽었다고 까불어대는 지식분자들과는 어울리지 않았고, 심지어 멸시했다. 이는 간접적으로 양의, 위연 두 사람이 각각 서로 다른 입장을 내세우고, 서로 상대방이 모반했다고 할 때, 시중 동윤, 장사 장완등 문인이 모두 "양의의 편을 들고 위연의 편을 들어주지 않은(保儀疑延)" 주요 원인이 된다.

 

위연이 죽은 후 양의는 더더욱 발로 그의 머리통을 짓밟으며 말한다: "용노(庸奴)! 아직도 나쁜 짓을 더 할 수 있느냐?" 이는 반증한다. 위연이라는 사람은 관우와 유사하다: "사병에게는 잘 대해주지만, 사대부에게는 오만하게 군다"

 

진수의 그에 대한 평가는 이러하다: "위연은 사병을 잘 기를 뿐아니라, 용맹하기 그지없었다. 그리고 성격이 자부심이 강하여 당시 모두 그를 아래에 두기를 피했다."

 

2. 위연본인이 직설적으로 말했고(直言鯁議), 말을 가려하지 않았다(口無遮攔)

 

호탕하고 직설적인 것은 위연이 화를 당한 양날의 검이다. 전자는 의심을 사고, 후자는 몸을 망치게 만든다. 유비가 면양(沔陽)에서 황제에 오를 때, 치소를 성도로 정한 후, 위연을 한중태수에 발탁한다. 하루는 유비가 군신들에게 연회를 베풀 때 위연에게 묻는다: "오늘 너에게 이런 요직을 내렸는데, 넌 뭐라고 할 말이 없느냐?"

 

그러자 위연은 낭랑하게 말한다: "만일 조조가 모든 병력을 이끌고 온다면 제가 대왕을 위하여 그들을 막아낼 것이고, 만일 한 편장이 십만대군을 이끌고 온다면 제가 대왕을 위하여 그 병력을 집어삼켜버리겠습니다." 우리는 위연의 이 말이 관직을 받은 사람이 하는 모범적인 말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뿐아니라, 그 내용만 보더라도 이는 "자신을 자랑하는" 것밖에 되지 않는다. 이전에 이미 한중은 자신이 맡아야 한다고 생각했던 장비나 다른 장수들의 감정을 전혀 고려하지 않는 행동이다. 이 점에서 그는 같은 시기의 여몽(呂蒙)과 큰 차이를 보인다.

 

여몽은 서쪽으로 가서 육구(陸口)에 주둔할 때 한창태수직을 받는다. 그때 손권도 그에게 뭐 할 말이 없느냐고 물었다. 그는 이렇게 대답한다: "관우의 군신은 권모술수에 능하여 믿을 만한 자들이 못됩니다. 현재 관우가 병력을 이끌고 동오로 향하지 안흔 것은 첫째, 주군이 명찰독조(明察獨照)하기 때문이고 둘째는 동오가 호거용반(虎踞龍盤)이기 때문입니다. 현재 우리의 병력이 강한 틈을 타서 그들을 취하지 않으면, 일단 정세가 바뀌었을 때 다시 병력을 출동시키려 하면 훨씬 더 어려울 것입니다. 이웃한 적이 이미 무너졌으니, 정로장군 손교(孫皎)로 하여금 남군을 지키게 하고, 반장(潘璋)으로 하여금 백제성을 지키게 하고, 장흠(蔣欽)으로 하여금 유격대 1만명을 이끌고 장강의 상하로 활동하게 하여, 수시로 적을 상대할 수 있게 하면, 나는 주공을 위하여 양양을 점령하겠습니다. 이렇게 하면 손류연맹이 아니더라도 혼자 힘으로 조조에 대항할 수 있습니다."

 

여몽의 대답은 구체적이고 충실하며, 방침이 명확하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점은 그의 말에서 동오집단은 하나의 팀이라는 것을 부각시킨 것이다. 팀내에 인재들이 많으며 나 하나뿐이 아니다.

 

그러나, 위연의 방식은 여러 신하들이 겉으로 그의 이 말은 영웅호걸의 기개가 보인다고 칭찬하지만, 그것말고 무슨 도움이 되는가.

 

유비는 제왕지술에 통달한 사람이고, 사람을 쓰는데 아량이 있었다. 그러다보니 굳이 따지지는 않았다. 그러나 유비가 죽은 후, 위연을 받쳐주는 사람은 이제 아무도 없다. 그러면 그는 당연히 도광양회해야 했다. 이를 통해서 그 스스로의 일신안전을 도모해야 했다. 그러나 그는 더욱 장광무기(張狂无忌)했다. 제갈공명의 유골이 아직 식기도 전에, 비위등은 군영을 해체하여 철수하고, 국상을 준비하려 할 때, 위연은 놀랍게도 이런 말을 내뱉는다: "승상이 비록 죽었지만, 나는 여기에 있다. 승상부의 친척과 속하관리들은 돌아가서 장례를 치르면 되고, 나는 군대를 이끌고 적을 치겠다. 어찌 한 사람이 죽었다고 천하의 일을 포기할 수 있단 말인가."

 

우리는 위연이 촉국의 대들보로서, 확실히 나라에 충성하고 그의 말 한마디 한마디는 직설적이고 강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때와 장소를 분간하지 못하는 방식의 직언과 강직을 제갈량이 살아있을 때라고 좋아했겠는가?

 

3. 위연은 혼자서 독자적으로 놀았고, 일파를 형성할 줄 몰랐다.

 

유비가 천하를 얻기 위하여 촉한을 건립한 것은 많은 정도에서 형주사족(荊州士族), 익주토착(益州土著), 동주집단(東州集團), 서량이적(西凉夷狄)의 4대방파의 도움이 컸다. 위연 본인은 그 어느 방파와도 깊이 연결되어 있지 않았다. 문신들과도 낯설어 했다. 그것만이 아니라, 마초, 조운, 황충등 무장들과도 잘 지내지 못했다. 양희(楊戱)가 "임난수명(臨難受命), 절충외어(折沖外御), 진보국경(鎭保國境)"이라고 위연을 몇 마디 칭찬한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 문무대신은 거의 모두 위연을 이류(異類)로 취급한다.

 

이 모든 것은 그가 혼자서 독자적으로 놀고, 권모술수에 능하지 못하고, 강직한 성격과도 관련이 있다.

 

촉국에서 제갈량은 확실히 4대집단과 모두 관계가 좋지 않은 인물에게 의발을 넘겨주기는 곤란했을 것이다.

 

4. 위연 본인은 공적을 많이 쌓았고, 그 공이 승상보다 높았다.

 

<위략>과 <한진춘추>를 약간만 살펴보면, 위연의 공적이 탁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촉한집단에서, 그의 전공은 관우, 장비에 미치지 못할 뿐, 마초, 황충, 조운보다는 컸다.

 

212년, 위연은 유장의 부하인 유귀등 9명의 장수의 정예부대를 함락시켜 광한군을 평정한다.

214년, 위연은 중요도시 낙성(雒城)을 점령하고, 안교지전에서 유장 휘하의 명장 장임(張任)을 생포하고, 군대를 이끌고 성도를 포위한다.

230년, 위언은 편사(偏師)를 이끌고 서진하여 강족의 지역으로 들어가 조위의 양주지구를 공격하여, 곽준, 비요등 10며명의 장수를 연패시키고, 무위에서 명성을 떨친다.

231년, 위연은 며을 받아 병력을 이끌고 역습하여 위병을 대패시키고, 위연이 부대는 수급 3천급을 얻는다. 사마의는 물러나서 군영을 지킨다.

 

이상의 4개의 사례는 모두 위연의 평생에서 아주 보통인 몇 번의 전투였다. 만일 위연이 단순히 장포, 관평등과 마찬가지로 그저 '견마지로'를 다하는 것이라면 그다지 문제될 것이 없다. 문제의 관건은 바로 위연의 부대는 유비가 촉한을 세우는 핵심전투에 참가했을 뿐아니라, '삼호장'이 죽은 후 위연의 원로지위는 더욱 두드러졌다는 것이다.

 

그외에 제갈량은 여러해동안 북벌을 벌였지만, 데리고간 장수는 그저 관우, 장비, 조운의 후배였다. 그러나 위연의 배분은 비록 이 세명에 비하여는 약간 떨어지지만 나머지 장수들에게는 '숙백(叔伯)'뻘이다. 이렇게 특수한 신분과 공로때문에 촉한승상 제갈량은 마음 속으로 꺼릴 수밖에 없었다.

 

5. 위연은 북벌전략에 대하여 혼자서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제걀량은 매번 전투때마다 기산을 거쳤고, 정정당당하고 한걸음한걸음 안정적으로 나가는 방법을 택한다. 위연은 그러나 서충, 하판, 낙양, 낙곡, 심령, 자오곡에서 모두 출병하고 기습으로 승리를 얻을 것을 주장한다. 기실 두 사람의 생각을 서로 보완하여 '"이정합(以正合), 이기승(以奇勝)"하였다면 더할나위없이 좋았을 것이다. 그러나 제갈량은 탁고의 중임을 맡고 있어 위험한 방법은 택하지 않았다. 비록 위연은 "제갈량과 다른 길로 동관에서 만나기를 생각했다. 한신의 이야기처럼", 그러나 제갈량은 마음 속으로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관우도 독당일면하지 못했는데 위연이 어찌 감히 회음후(한신)과 비교할 수 있단 말인가."

 

위연은 일생동안 충성스럽고 의리있었다. 절개를 잃지 않았다. 다만 권모술수와 책략은 부족했다.  그래서 '불능리미(不能理微)"라는 평가를 받는다. 그외에, "자고이래로 큰 재목은 쓰이기 어렵다(古來材大難爲用)"는 것이 아마도 평생동안 제갈량이 마음 속으로 그를 용납하지 못한 원인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