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탕11 상(商)나라는 왜 빈번하게 천도(遷都)하였을까? 글: 사설신어(史說新語) "탕(湯)이 걸(桀)의 폭정을 없애고 팔방을 평정하고, 박읍(亳邑)을 수도로 삼아 상(商)을 세운다" 중국고대의 두번째 왕조로서 상나라는 중국역사에 무시할 수 없는 영향을 끼친다. 당연히 상나라이전에 중국 최초의 왕조인 하(夏)나라가 있다. 하나라는 중국최초의 세습제 왕조였다. 그러나, 기원전1600년 상탕(商湯)이 이끄는 상부락이 하왕조를 멸망시키고 상왕조를 건립하게 된다. 그러나, 하왕조가 이미 멸망하였는데도 상나라는 계속하여 빈번하게 도성을 옮겼다. 어떤 사람은 상나라가 이렇게 자주 도성을 옮긴 것은 홍수를 피하기 위함이었다고 말한다. 그러나, 그 견해는 금방 무너졌다. 고고학적 발굴에 따르면, 상왕조가 피하려 한 것은 홍수가 아니었다. 그렇다면 상왕조는 도대체 왜 그렇게 .. 2023. 3. 24. 출토유물로 본 상(商)이 하(夏)를 멸망시킨 이유는...? 글: 소가노대(蕭家老大) 하왕조는 중국사서에 기록된 최초의 세습제 왕조이다. 건국자는 요순우(堯舜禹)시대의 우(禹)이다. 하왕조는 전후로 약 471년간(기원전2070년-기원전1600년) 존속했고 후인들은 스스로를 '화하(華夏)'로 자칭하여, 중국의 대명사가 된다. 3,600년전에 상(商)이 하(夏)를 멸망시키고 상탕(商湯)이 상왕조를 건립한다. 당시 하왕조의 수도는 현재의 정주(鄭州)와 낙양(洛陽)의 사이에 있는 언사현(偃師縣) 일대에 위치하고 있었다. 상탕이 건립하기 시작한 초기 상왕조의 수도는 당시 하왕조의 수도 부근에 있었다. 즉 현재의 정주(鄭州) 상성(商城) 유지이다. 하왕조의 마지막 왕은 하걸(夏桀)이다. 상탕이 하걸을 이길 수 있었던 것에 대한 역사적인 설명은 이러하다: 하걸은 포악하고, 생.. 2020. 6. 3. 중국에서의 작명법 변천사: 삼국시대 인물은 왜 모두 외자이름일까? 글: 비상역사(非常歷史) <삼국연의>를 보면 이런 문제를 얘기하는 사람이 있다: 왜 삼국시대에 절대다수의 사람들은 외자이름을 가졌을까? 확실히 그렇다. 역사를 뒤져보면, 전체 동한(東漢), 삼국의 300여년간의 인명을 보면 거의 모두 외자이다. 두자 이름은 극소수이다. <후한서>.. 2019. 1. 23. 주(周)나라 멸망후 천하를 상징하는 구정(九鼎)은 어디로 갔을까? 글: 천지사화(天地史話) 주나라때 천하의 구주(九州)를 대표하던 구정이 진나라의 통일후에는 왜 보이지 않게 되었을까? 전해지는 바로는 하(夏)나라초기, 하왕(夏王) 대우(大禹)는 천하를 구주로 나누었고, 구정을 주조하여, 구주를 상징했다. 전국 구주의 명산대천, 기이지물을 구정에 .. 2018. 11. 25. 무을사천(武乙射天): 은상(殷商)말기의 수수께끼같은 사건 글: 황수(黃帥) <사기> 본기편의 전3장을 읽어보면, 사마천이 오제와 하상시기의 역사에 대하여 상당히 간략하게 적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러 통치자에 대한 기록은 겨우 이름만 있고, 어떤 경우는 개략적인 재위기간만 있다. 더 많은 경우는 그저 한마디만 하고 지나간다. 누가 '.. 2018. 10. 24. 주(周)나라에서 분봉(分封)한 8개의 공국(公國) 글: 천지사화(天地史話) 주나라때 분봉한 제후의 등급은 5등작위이다. 각각 공(公) 후(侯) 백(伯) 자(子) 남(男)이다. <좌전>에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왕(王)과 공, 후, 백, 자, 남, 전(甸), 채(采), 위(衛), 대부(大夫)가 각각 그 열에 위치했다." 주무왕은 8개등급의 제후를 분봉했고, 그.. 2018. 7. 21.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