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명16 광시형(光時亨): 명나라말기 남천을 저지한 인물 글: 한정우기(閑情偶記) 송나라에 이어, 명나라도 또 하나의 '망천하(亡天下)'의 왕조가 되었다. 다만, 송나라와 명나라를 비교하면, 남송은 한세기반동안 연속되었는데, 소위 '남명'은 겨우 십여년간 잔존했을 뿐이다. 한, 당과 비교하더라도, 명나라에는 '삼국' 혹은 '남북조'의 국면이 나.. 2014. 4. 4. 남명(南明) 황제세계표(皇帝世計表) 글: 군사탄정대제(君士坦丁大帝) 1. 명안종(明安宗) 간황제(簡皇帝) 주유송(朱由崧) 홍광(弘光) 1644 - 1645 응천(應天) (감국) 노왕(潞王) 주상방(朱常淓) 1645 항주(杭州) (감국) 노왕(魯王) 주이해(朱以海) 1645-1655 소흥(紹興) 주산(舟山) (감국) 익왕(益王) 주자태(朱慈炲) 1645 무주(撫州) 2... 2013. 5. 18. 이자성 생사의 수수께끼: 만청과 남명은 모두 그의 수급을 얻지 못하다 글: 감홍류(闞紅柳) 이자성이 석문협산으로 도망가 선승이 되었다는 이야기는 널리 알려져 있다. 호남성의 석문현은 풍양이라고 불렀고, 풍주라고보 불리웠다. 청나라 건륭년간의 <풍주지림>에 수록된 풍주지주의 <이자성전>에 따르면, 이자성은 전투에서 패배하고, 홀로 석.. 2013. 4. 27. 남명(南明)은 왜 동진(東晋), 남송(南宋)처럼 지속되지 못했을까? 서기1644년(명숭정17년, 청순치원년) 3월 19일, 이자성이 대순군(大順軍)을 이끌고 북경으로 진입했다. 명나라 숭정황제 주유검은 황궁의 북문인 현무문(지금의 선무문) 밖의 만세산(경산)에서 목을 매어 자결했다. 그러나, 숭정제의 죽음이 명나라 276년의 통치가 끝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았다. 왜냐하.. 2008. 4. 3.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