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042 이성량(李成梁)의 군현조선론(郡縣朝鮮論) 글: 자귤(紫橘)명나라말기에 이성량은 동북아의 관계에 중대한 영향을 끼쳤다. 일반적으로 그가 요동(遼東)에 있는 동안 여진(女眞)의 굴기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명나라에 충성한 장수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1608년의 한 사건은 이성량의 허약과 야심을 보여준다. 이성량이 조선을 군현으로 삼으려한 거동은 이미 명말군벌할거의 싹이 드러난 것이다. 광해군의 계위를 둘러싼 갈등광해군(光海君) 이혼(李琿)은 조선 선조(宣祖)의 차남(次男)이다. 명나라의 책봉을 받지도 않은 상황하에 1608년에 왕으로 등극한다. 급히 등극하게 되고, 게다가 명나라에서 그를 세자(世子)로 책봉하는 것을 거절당하자, 광해군의 통치는 불안정하게 된다. 자신의 정통지위를 강화하기 위하여, 광해군은 즉위ㅜ 즉시 사람을 북경으로 보내어.. 2024. 9. 4. 역사상 통혼(通婚)이 금지된 7쌍의 성씨들. 글: 역사대학당(歷史大學堂)중국고대사회에서, 가족관념은 극히 중요하다. 가족간의 관계는 혈연상의 유대뿐만이 아니라, 사회지위와 권력의 상징이다. 만일 두 집안의 관계가 밀접하면, 몇대의 자손들이 아마 대대로 혼인을 맺고, 양가간의 심후한 관계를 유지해나갈 것이다. 그러나, 만일 두 집안간에 깊은 원한이 맺어져 있으면, 어른들은 왕왕 엄격한 가규(家規)를 만들어 상대방가족과의 통혼을 금지시킬 것이다. 이렇게 원한이 여러 대를 내려가고 심지어 천년을 내려가게 된다. 현대사회에서는 이런 속박이 점차 타파되고 있으며, 이들 오래된 법도는 서서히 사라지고 있다. 그렇다면, 도대체 어떤 성씨가 서로간에 통혼을 금지시켰던가?첫째 통혼할 수 없는 성씨는 "무(武)"와 "반(潘)"이다. 이 두 성씨간의 금혼은 사람들.. 2024. 9. 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