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4/10/213

이궐전투(伊闕之戰): 전국시대의 분수령, 전신(戰神) 백기(白起)의 등장. 글: 서북낭(西北狼)​기원전293년, 진(秦), 한(韓), 위(魏) 3국간에 분수령적 의미가 있는 전투가 발생한다. 바로 이궐전투이다. 이 전투에서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낸 백기는 사람들을 깜짝 놀라게 하며 24만의 한,위 연합군을 섬멸한다. 한, 위 양국은 이후 도마위에 놓은 고기처럼 진나라에 유린당한다. 이 전투를 복기해보기로 한다.​이궐전투전의 국제형세​기원전307년, 진무왕(秦武王)이 무거운 것을 들다가 죽은 후, 진나라 국왕의 자리는 그의 동부이모의 친동생 진소양왕(秦昭襄王) 영직(嬴稷)의 머리 위에 떨어진다.​진소양왕의 즉위초기, 진나라는 상앙변법이래 국운이 쇠락한 시기였다. 영직이 즉위한 초기, 국내의 여러 공자들은 그에게 불복했고, 3년에 걸친 계군(季君)의 난이 발생한다. ​반란을 평정한 .. 2024. 10. 21.
청일전쟁에서 청군의 어뢰는 몇척의 일본군함에 명중했을까? 글: 삼파도(三把刀)​19세기말기에 발발한 청일전쟁(중국에서는 中日甲午戰爭이라 함)에서 중국이 패전하면서 특히 북양수군이 전멸하면서 후세에 "갑오지치(甲午之恥)"라 불리고 있다. 일본군국주의의 외교와 군사압력으로 청정부는 패전후 굴욕적인 을 체결해야 했다. 이제 100여년이 지났고, 신중국은 이미 논쟁의 여지없는 세계적인 대국으로 성정했고, 정치, 경제와 군사분야에서 모두 강력한 힘을 가졌으며, 더 이상 예전의 굴욕사는 재연되지 않을 것이다. 당연히, '물망국치(勿忘國恥)'는 모든 사람들이 중국민적이 겪은 고통과 굴욕을 잊지 말아야 하고, 그래야만 더욱 굳건한 신념으로 미래를 열 수 있을 것이다. 최근, 바다에서 100여년간 표류하던 어뢰(魚雷)가 발견되어, 다시 한번 그 당시의 갑오해전을 떠올리게 만들.. 2024. 10. 21.
11만 청군(淸軍)이 2만 팔국연군(八國聯軍)에 패배한 이유는? 글: 시사중국(詩詞中國)​1900년 5월 28일(청광서26년), 당시의 대영제국, 아메리카합중국, 프랑스제3공화국, 도이치제국, 러시아제국, 일본제국, 이탈리아왕국, 오스트리아헝가리제국등 8개 주요국가는 당시 청나라를 상대로 전쟁을 일으키게 된다.​짧은 몇달동안, 팔국연군은 신속히 수도 북경을 점령했고, 서태후는 광서제를 데리고 황급히 도망쳤으며, 팔국연군이 북경에 진입한 후 방화약탈을 저지르고, 자금성과 이화원등 황가원림의 보물들을 약탈한다. 이번 전쟁으로 을체결하게 되었으며, 중국은 반식민지반봉건사회로 전락하게 된다.​당시 팔국연군은 5만이라고 얘기했지만, 실제로는 겨우 2만여명이고 3만명이 되지 않았다. 인원수가 가장 많았던 것은 일본군으로 1만명이었다. 나머지 러시아군 4천명, 영국군 3천명, 미.. 2024. 10.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