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의 역사분석/중국역사의 분석88

역사를 읽으면 왜 우매해지는가? 글: 장굉걸(張宏傑)​독자들이 나에게 책에 서명을 해달라고 할 때, 이런 문구를 적어달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역사를 읽으면 똑똑해진다." 나는 그러면 왕왕 뒤에 한 마디를 덧붙인다: "또한 더욱 깊은 우매로 빠져들게 할 수도 있다."​왜 이렇게 말하는가?​나는 역사를 많이 읽을수록 머리는 더욱 혼란스러워지는 사람을 많이 만났다. 예를 들어 나의 외삼촌같은 분이다. 외삼촌은 은퇴후에 역사를 좋아하게 되었고, 몇년동안 계속하여 역사책을 읽었다. 그러나 그는 오직 한 가지 유형만을 읽었는데, 그것은 바로 "서방위사론(西方僞史論)"이다. 방증까지 널리 인용된 책이 그에게 얘기해주는 것은 서방의 역사가 그리스, 로마와 이집트를 포함하여 모두 위조된 것이라는 것이다. 소위 그리스의 신전, 이집트의 피라미드는 모.. 2025. 6. 4.
중국역대왕조말기의 공통점 글: 오홍삼(吳洪森)​중국 2천여년의 역사는 치란교체(治亂交替), 주이부시(周而復始)의 윤회사로 정리할 수 있다.​모든 왕조가 진한제(秦漢制)를 시행하고, 윤번제로 등장한 신왕조가 말기에 무너질 때가 되면 모두 특정한 공통점을 나타내게 된다.​첫째, 부와 권력이 갈수록 소수인에게 집중되어, 빈부차이가 심해진다. 사회계층은 고착화되고, 하층인들은 아무런 희망을 갖지 못한다. 이는 바로 최근 인터넷에서 인기검색어가 된 문벌제도이다.​둘째, 중앙정부에 재정위기가 발생하여, 지방을 지원하거나 지탱해줄 수 없게 된다. 그리하여 중앙의 권위는 점차 와해되고, 지방은 각자 살길을 찾아, 지방할거현상이 나타난다.​셋째, 정권불안정으로 통치자는 갈수록 자신을 잃는다. 자신감을 잃을수록 간단하고 폭력적인 진압수단을 사용한.. 2025. 5. 28.
중국의 백년근대사(百年近代史)는 백년치욕사(百年恥辱史)인가? 글: 궁장패점랑(弓張貝占郞)​1840년 영국군함이 중국의 대문을 대포로 열어제꼈다. "제1차아편전쟁"으로 중국은 반식민지반봉건사회의 근대사를 시작한다.​그러나, 우리는 "백년국치"라고 여기는데, 많은 외국인들은 헛소리라고 여긴다. 왜 중국의 근대역사인식은 외국인들의 공감을 얻지 못하고 있는 것일까?​중국의 역사교과서는 모두 많은 페이지를 근대사를 이야기하는데 할애한다. 그래서 대부분의 독자들은 이 역사를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는 상세하게 묘사하지는 않고, 단지 필요한 역사수치만 보여줌으로써, 이 역사를 더욱 구체적으로 보여주도록 하겠다.​1842년의 부터 1901년의 까지 중국은 343개의 불평등조약을 강제로 체결해야 했다. 그중 으로 3.4억냥백은(현재의 인민폐 3,200억위안에 상당함)을 배.. 2025. 5. 9.
<좌전(左傳)>: 보복의 가장 좋은 방식은...? 글: 포의조식(布衣粗食)​춘추시대에 월왕 구천은 오왕 부차에게 형편없이 패배했다. 그러나 나중에 "삼천월급가탄오(三千越甲可呑吳)"의 희극을 상연했다.​구천의 방식은 우리로 하여금 강호의 험악함을 느끼게 만든다. 그리고 거기에서 보복하는 방법을 찾아볼 수 있다.​걸핏하면 반감을 드러내는 사람은 상대방에게 눈엣가시로 여겨져 아마도 더 이상 숨쉴 여지도 없을만큼 추가로 타격받을 수 있다.​그저 죽기살기로 덤벼들어, 계란으로 바위치기식의 장거를 이루려면, 힘을 남겨두어야 하고, 기회가 왔을 때 반격해야 하는 것이다.​의 세 구절은 구천이 어떻게 부차와의 싸움에서 최종적으로 이약기강(以弱欺强)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1​"아문충선이손원(我聞忠善以損怨), 불문작위이방원(不聞作威以防怨)"(내가 듣기로 충성스러운 마.. 2025. 3. 13.
"탄금(呑金)": 순금은 독이 없는데, 고대에 금을 먹고 죽은 이유는...? 글: 역래현실(歷來現實)​서언​고대에 "탄금(呑金)"이라는 형벌이 있었다. 금(金)은 고대에 부귀를 상징했다. 그리고, 탄금이라는 형벌의 집행방법은 직접적으로 이런 부귀가 치명적인 고통으로 다가오게 만드는 것이다.​황금을 먹는다고 직접 사망하지는 않는다. 그런데 왜 결국 비명에 죽게 되는 것일까?​1​고대사회의 형벌은 상징성이 충만했다. 많은 형벌은 범인에 대한 징벌이며 사회질서에 대한 일종의 경시(警示)였다. "탄금"이라는 방식은 신비감이 충만하고, 복잡한 문화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그건 간단한 사형이 아니라, 금을 매개로 하여, 상징적인 의미가 충만한 사형의식이다.​"탄금" 혈벌은 주로 사회적인 지위가 비교적 높고, 배경이 복잡한 귀족과 관료를 징벌하는데 썼다.​이들은 고대사회에 지위가 극히 중요했.. 2025. 2. 28.
일부 역사학자들은 왜 이렇게 추악한가? 글: 정사통찰(正史洞察)​중국의 역사학자들은 웃음거리가 많은 집단이다. 오늘 우리가 얘기할 것은 그들이 어떤 사람이냐는 것이다.​역사학자의 웃음거리 하나: 이중기준​중국역사학자들의 최대의 웃음거리중 하나는 문제를 볼 때 이중기준을 적용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대청제국의 철기(鐵騎)에 의한 가정도성(嘉定屠城)은 죄악이라고 하지만, 마찬가지로 대청제국의 철기가 준가르칸국에서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모조리 도살한 것에 대하여는 "준가르평정"이라고 부른다. ​같은 대도살인데, 죽이는 것이 자신에게 불리하면 죄악이 되고, 죽이는 것이 자신에게 유리하면 공적이 된다는 것이다.​그리고, 흉노는 우리의 영토로 침입해 들어와서는 안되지만, 우리는 대막으로 진격하여 흉노를 추격하여 죽일 수 있다. 다른 사람이 쳐들어오는 것.. 2025. 2.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