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4대 특수집단 (4) : 신삼계(新三屆)
글: 진검(陳劍)
"신삼계"는 대학입시를 부활시킨 후인 77, 78, 79학번 대학생을 가리킨다. 1980년대이후 입교한 학생들과 비교하여 이 3개학번을 "노삼계"로도 부른다. 다만, 문혁기간의 "노삼계"와 구분하기 위하여, 대학입시가 부활된 후의 3개학번에 "신"을 붙여서 "신로삼계(新老三屆)"라고 부르기도 한다. 시간이 오래 흐르다보니 사람들은 "신로삼계"의 "노"자를 빼버리고 그냥 "신삼계"로 부르고 있다.
"신삼계"중 일부는 1966년의 "노삼계"에서 왔다. 이는 단지 77, 78학번중에 포함되어 있다. 신삼계중 나이가 가장 어린 79학번은 해당연도 고등학교졸업생들로 1963년생이다. 이 3기의 출생연도는 1947년에서 1963년까지 모두 16년간이다.
"신삼계"중에서 77학번은 거의 당해년도 고등학교졸업생이 없었다. 79학번은 당해년도 고등학교졸업생이 큰 비중을 차지했다. 사회경력을 보면, 79학번과 77, 78학번은 같은 수준이 아니다. 이전의 두 해와 비교하면 79학번의 평균연령은 훨씬 낮아졌다. 이전보다 평균 5살이상이 어렸다.
1977년 겨울, 570만의 수험생이 대학입시에 참가하고, 합격자는 27.3만명이었다. 합격률은 4.8%였다. 이는 중국대학입시역사상 가장 낮은 합격률이다. 3기의 수험생총수는 1,648만명이었고, 합격자수는 95.2만명이었다. 3기의 총합격률은 5.77%였다.
(1) 신삼계의 특징
첫째, 사회실무경력이 풍부하다.
신삼계의 나이는 16살 차이가 난다. 특히 77, 78학번의 문과전공은 가장 나이많은 학생과 가장 나이적은 학생은 15,16살 차이가 나는 것이 보통이었다. 어떤 사람은 이미 자식을 둔 가장이었고, 어떤 사람은 연애가 뭔지도 잘 모르는 나이였다. 노삼계중의 적지 않은 입학생들은 이미 결혼하여 자식을 두었다.
신삼계는 사회경력이 풍부했다. 보편적으로 하층에서 생존한 이력이 있다. 공농병학원도 있고, 각종 성분이 다 있었다. 그들은 세태의 염량을 경험했었다. 이들은 시대의 풍운을 맞이하여, 이처럼 경력차이가 크고, 연령차이가 큰 청년들이 하나의 집단으로 모인 것이다. 신삼계는 하층에서 기어올라온 굳건한 의지를 지닌 성격과 단련된 인간관계가 있었다. 이는 향후 이들이 발전하는데 기초가 된다.
둘째, 엘리트의식이 강했다.
심삼계의 입학생들은 자질이 뛰어났다. 특히 그중 77학번이 그러하다. 이들은 중국사회 10여년간 축적된 우수한 인재들의 집합체였다. 많은 사람들은 "천하를 자신의 임무"로 여기는 포부와 "하늘이 나에게 큰 임무를 주었다"는 영웅기질이 있었다. 사회최하층에서 순식간에 "천지교자"로 변신했으며, 경력에서 바닥을 치고 올라온 것이며, 생활의 고난을 겪어보았기 때문에, 일종의 생명에 대한 긴박감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이들 집단의 특징이었다.
셋째, 공부에 대한 갈망이 컸다.
엘리트의식이 강렬한 특징과 연결하여, 신삼계는 힘들게 얻은 공부기회를 귀하게 여겼다. 77, 78학번이 어렵게 들어온 대학의 공부기간을 귀중하게 생각했다. 이 집단의 많은 사람들은 지식욕이 강했고, 마치 솜을 물 속에 던져넣은 것처럼 지식을 흡수했다. 그들은 다른 생각은 하지 않고 오로지 공부에 매진했다.
넷째, 다수가 중산계층가정출신이었다.
신삼계에는 지식분자가정출신이 많았고, 간부가정출신이 많았다. 이들은 모두 현재의 정의로 보면 중산층이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서적이 부족하고, 사회가 보편적으로 교육을 중시하지 않던 시기에 부모의 교육이 자녀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의미한다.
농촌가정출신이라 하더라도, 교육을 중시하는 지역문화를 가진 곳이 후세를 나타낸다. 부모가 농민이더라도, 아이들에게 책을 읽게 하고, 자녀교육을 중시한 경우들이었다.
(2) 사회의 중견역량이 되다.
1980년 여름부터, 1983년 여름까지, 신삼계의 95만 대학생들이 차례로 졸업한다. 이때 개혁개방의 서막이 이미 열렸고, 중국은 백년만에 가장 사람들의 마음을 뛰게 만드는 80년대가 이들 앞에 열린 것이다. 중국사회는 인재에 대한 수요가 절박했고, 이들 95만 신삼계들에게 무한한 기대를 걸었다. 신삼계는 "천지교자"로 불리며, 당대사회의 중견역량이 된다.
신삼계는 사회의 중견역량이 되어, 개혁개방의 호시절을 맞아 발전기회가 좋았다. 신삼계는 보편적으로 하층에서 단련을 겪었고, 게다가 4년간 열심히 공부했기 때문에, 기초가 탄탄했다. 다른 사람들과는 틀린 집단으로서 출발점이 다른 같은 나이대의 사람들보다 훨씬 앞서 있었다.
신삼계는 사회중견역량이 되었는데, 이는 남다른 학습의욕때문이다. 그들은 노력을 다했고, 고생을 마다하지 않았으며, 적극적으로 발전하고자 했다. 그들은 서로 다른 자리에서 단련을 거치면서 각 분야에서 각고노력했고, 서로 다른 자리에서 자신의 공헌을 했다.
40여년후에 다시 신삼계를 되돌아보면, 정계이건, 학계이건, 상계이건, 많은 지도자급인물들이 이 95만명에서 나왔다. 사회는 신삼계에 대해 높이 평가한다. 학계를 예로 들면, 미국국가과학원의 외국인 원사 465명중, 신삼계의 교우가 13명이나 된다. 정계에서도 일부 사람들은 두각을 나타내서 부국급, 정국급의 국가지도자로 성장했다.
신삼계의 결함은 문과생이건 이과생이건 대부분 학문의 "동자공(童子功)"이 흠결되어 있다는 것이다. 외국어실력이 보편적으로 떨어졌다. 특히 77, 78학번이 심하다.
중국사회가 급속히 발전하는 과정에서 어느 정도 부패문제도 발생한다. 신삼계도 그것을 벗어날 수 없었다. 통계를 보면, 18대이래, 성장, 부장급이상의 낙마고위관료는 이미 210명에 이르는데, 그중 3할이 신삼계에 속한다.
신삼계의 많은 사람들은 책을 두루 읽으면서 반성과 비판을 하는 용기가 있었고, 독립적으로 사고할 수 있었으며, 그저 남의 의견을 쫓지 않았다. 다만 시대가 흐르면서, 예전의 이상과 격정은 약화되고 잊혀진다. 전체적으로 말해서, 신삼계의 사고와 탐색은 한계가 있었고, 비판의식은 점차 약화되었다.
신삼계는 현재 대부분 은퇴했다. 중국의 40여년간의 개혁개방에서 중견역량으로 역사는 이들 집단중 개개인의 이름을 기억하지는 못하겠지만, 분명히 신삼계라는 집단의 역사적 공헌은 기록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