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잡학/속담과 성어24

북경사람들이 많이 쓰는 속담 1. 팔구불리십(八九不離十) 여덟, 아홉은 십에서 멀지 않다. 차이가 별로 없다는 의미임 2. 백도자진거, 홍도자출래(白刀子鎭去, 紅刀子出來) 칼이 들어갈 때는 하얀 색이나, 나올 때는 빨간 색이라는 것. 즉, 칼로 사람을 찌른다는 의미임. 보통은 다른 사람에게 죽인다고 협박할 때 많이 씀. 3. 핍아파설.. 2006. 11. 26.
청매죽마(靑梅竹馬) 우리나라에서는 죽마고우(竹馬故友)라는 말이 많이 쓰이고, "어릴 때 같이 놀던 친구"라는 의미로, 남자와 남자 사이에도 쓰이고 있다. 중국에서는 청매죽마라는 말을 많이 쓰고 있는데, 이 말은 보통은 남자와 여자가 아주 어린 시절에 남녀라는 의식이 없이 서로 친하게 지내던 친구를 의미한다. 이 .. 2006. 5. 15.
불식태산(不識泰山) : 태산을 알아보지 못하다. 불식태산은 태산을 알아보지 못하다는 말인데, 유안불식태산(有眼不識泰山), 즉 눈은 있으되 태산을 알아보지 못했구나로 많이 쓰인다. 그 뜻은 큰 인물이나 재주가 뛰어난 사람은 눈 앞에 두고도 알아보지 못했다는 의미로 쓰인다. 여기서 태산은 보통 산동성에 있는 오악중의 동악 태산을 의미하는 .. 2006. 1. 27.
삼양개태(三陽開泰, 三羊開泰) 중국에서는 새해를 맞이하면서 삼양개태(三陽開泰)라는 글을 써붙이고, 또한 양 세마리를 그려놓고 삼양개태(三羊開泰)라고 쓰기도 한다. "삼양개태"는 봄날의 시작을 의미합니다. 주역에 따르면 양효(陽爻)는 구(九)라고 칭합니다. 첫번째 놓이는 것은 초구(初九)라고 하고, 두번째는 구이(九二), 세번.. 2006. 1. 9.
한자성어 몇가지 (IX) 1. 호리심산피견기(虎離深山被犬欺) : 호랑이가 깊은 산을 떠나면 개한테도 수모를 당한다. 2. 수재조반, 삼년불성(秀才造反, 三年不成) : 글 읽는 선비들이 반란을 일으키려고 해서는 삼년이 되도 성사될 수 없다. 3. 신뢰불급엄이(迅雷不及掩耳) : 천둥번개소리도 귀를 막고 있는 사람에게는 들리지 않.. 2005. 8. 8.
한자성어 몇 가지 (VIII) 1. 명인불주암사(名人不做暗事) : 광명정대한 사람은 숨어서 일을 꾸미지 않는다. 2. 지가의회, 불가언전(知可意會, 不可言傳) : 무슨 말을 하는지 뜻은 개략 알겠는데, 다른 사람에게 말을 전하라면 못하겠다. 3. 조상부지만상사(早上不知晩上事) : 아침에는 저녁에 무슨 일이 있을지를 모른다. 4. 원재천.. 2005. 8. 8.
한자성어 몇가지 (VII) 1. 단지이절 다지난단(單枝易折 多枝難斷) : 나뭇가지 하나는 꺽기 쉽지만, 나뭇가지 여럿은 꺽기 어렵다. 2. 유운불보비군자, 유구불보비장부(有恩不報非君子 有仇不報非丈夫) : 은혜가 있는데 갚지 않으면 군자가 아니고, 원수가 있는데 갚지를 않으면 사나이가 아니다. 3. 여대십팔변(女大十八變) : .. 2005. 8. 8.
북경의 만주족과 관련된 속담 몇가지 1. 오응(熬鷹, 아오잉): 밤에 잠을 못자게 하다.(매를 괴롭히다) 북경에서 밤을 새우는 것을 오응이라고 하는데, 특히 어쩔 수 없이 밤새도록 잠을 자지 못하는 경우를 '오응' 또는 오대응(熬大鷹)'이라고 한다. 이 말의 어원은 문주족이 매를 길들이는 방식에서 유래한다. 매는 맹금류이므로, 작은 매로.. 2005. 8. 4.
한자성어 몇가지 (VI) 양우생의 백발마녀전에 나오는 나머지 한자성어입니다. 백발마녀전은 명말을 시대배경으로 무당파 장문제자인 탁일항과 녹림의 옥나찰(백발마녀)과의 사랑을 그린 글입니다. 당시의 숭정제, 이자성, 장헌충, 고영상, 웅경락, 원숭환, 황태극, 위충현, 객씨부인등이 얽혀서 돌아갑니다. 1. 설시지, 나시.. 2005. 7. 23.
한자성어 몇가지 (V) 홍콩 무협작가인 양우생(梁羽生)의 대표작인 <<백발마녀전(白髮魔女傳)>>에 나오는 성어들입니다. 1. 왕재불왕정(旺財不旺丁) : 재물은 많은데, 사람은 많지 않다. 집안에 재산은 많이 있으나 자손은 번성하지 못하다는 의미임. 2. 독서불성, 학검우불성(讀書不成, 學劍又不成) : 글 읽는 것도 제.. 2005. 7. 22.